세계자연유산 지질자원 위로 달이 머무는 아름다운 마을 [한라일보] 화산회토와 사질토양, 얇게 흐른 용암들이 만든 빌레들, 굵은 암반, 모래와 바람이 범벅이 된 듯한 풍토 속에서 이 마을 선인들이 살아왔다. 그토록 사람이 살기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들이 엄청난 지질학적 가치를 품은 자원이라고 생각이나 했을까? 앞에 붙는 수식어도 화려하다.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 용천굴, 당처물동굴, 남지미동굴 등이 있어서다. 마을 지하에 이러한 동굴들이 지나가고 있다. 지질 생태자원을 가지고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자부심. 그 이면에 드리워진 월정리 주민들의 고통이 먼저 가슴을 아프게 한다. 지하에 엄청난 지질 자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활용할 수 없는 마을. 원형보존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2007년 이후, 월정리 주민들은 이런 행정용어에 익숙해 있다. 환경영향평가, 문화재 검토대상 구역, 핵심지역, 완충지역 등등. 모두가 주민들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에 대한 법적 규제를 의미한다. 마을 자체가 세계자연유산 동굴 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니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는 재산권 행사에 엄청난 제약을 받는 고통. 겉은 화려하나 속은 타들어 가는 심정, 그 심정이 월정리다. 마을공동체와 주민피해에 상응하는 행정적 조치가 무엇인지 계속하여 묻게 된다. 제주의 가치를 높여주는 땅에 사는 사람들 받는 불이익에 대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보상이 있어야 한다. 김창현 이장 '맬 잘 들민 월정, 멜 안 들민 멀정' 이라는 뼈 있는 말이 전해진다. 그만큼 월정리라고 하면 멸치잡이가 왕성했던 지역이었음을 알려주는 표현이었으리라. 지금은 관광객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는 해변이 마을공동체 정신으로 무장한 주민들이 모여들어 멸치그물을 당기는 집단어로의 기반시설이었던 것이다. 제주 최초로 어업조합이 만들어진 곳이 월정리. 그 멸치를 기반으로 일제강점기 초에 지역주민들이 한모살 부근에 멸치가공공장을 만들어서 일본에 수출했다고 하니 제주바다에서 잡히는 멸치의 집산지였다는 의미가 된다. 70대 초반까지 한모살 부근에 큰 말뚝을 박고 1㎞ 밖 바닷가에 그물로 가둔 물고기를 마을 주민들이 모여들어 줄다리기하듯 잡아끌던 모습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공동체문화가 문화재적 가치로 전승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아쉽다. 복원하여 축제의 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 김창현 이장이 밝히는 마을 사람들의 아름다운 정신이요 강점은 이렇다. 조상 대대로 "다른 마을 사람들보다 두 배로 일을 해야 잘산다." 근면과 성실을 가장 큰 자산으로 여기고 살아왔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정신문화다. 자연적인 여건이 풍요로운 삶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사람의 노력을 두 배로 늘려서 극복하고야 말겠다는 결기가 부지런한 부자들을 탄생시키고 대물림하여 줬던 상속정신이다. 시대가 바뀌어 월정리 해변이 관광객들에게 엄청난 호응을 얻는 상황에 이르렀다. 소박한 아름다움이 모래해변을 감싸는 서정적인 멋. 작년에 이어서 올해에도 '월정리 한모살 썸머페스티벌'이 열릴 정도로 인지도와 대중성까지 확보한 상태이고 보면 앞으로 사계절 관광지로 각광받는 곳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 자명해 보인다. 세계자연유산 마을이라고 하는 타이틀과 함께 주민소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달이 머물고 싶은 곳 <수채화 79cm×35cm> 밭을 그리는 마음 <수채화 79㎝×35㎝>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