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오후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그린수소 수전해 실증단지에서 수소버스 개통식을 개최했다. [한라일보]제주에 그린수소 버스 시대가 개막됐다. 그린수소 생산에서 운송, 활용에 이르기 까지 전주기 생태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주에 구축됐다. 제주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오후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그린수소 수전해 실증단지에서 수소버스 개통식을 개최했다. 그린수소 버스는 이날부터 함덕~수목원 노선(311·312번)에 투입돼 도민과 관광객 등을 수송하게 된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그린수소 버스 운행 대수를 1대에서 9대로 늘려 나갈 예정이다. ▶그린수소 생산=제주자치도와 산업부는 2020년부터 수전해 실증사업을 통해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왔다. 행원리 CFI에너지 미래관 부지 내 수전해 실증단지에 국내에서 개발된 1MW급 알칼라인 방식의 수전해 설비 2기와 300kW급 PEM 방식의 수전해 설비 1기를 설치했으며, 해외 1MW급 PEM 방식의 수전해 설비는 현재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이곳 생산시설을 통해 1일 최대 1.2t의 그린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실증단지에서는 인근 풍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기반으로 수소를 생산, 튜브 트레일러를 통해 함덕리 수소충전소로 운송하고 수소버스와 수소자동차에 공급하고 있다. 현재 수소버스 1대당 하루 20kg의 그린수소를 쓰고 있으며, 9대 운영시 1일 200kg정도가 예상되고 있다. ▶향후 계획=제주자치도는 그린수소 수요 증가에 맞춰 이곳의 일일 수소 생산량을 최대 1t으로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어 오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5개소(현재 1개소) 설치, 2030년까지 수소버스 300대(현재 9대)를 보급하는 등 수소생태계를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이같은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생산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도는 앞으로 2026년까지 12.5 MW급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에 이어 30MW급 그린수소 생산설비를 구축할 예정이어서 그린수소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제주자치도는 분석하고 있다. ▶해결 과제=제주자치도가 '그린수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그린수소 생산 기술력 확보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1MW급 알칼라인 방식의 수전해는 이미 중국이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현재 사양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1MW급 알칼라인 방식은 전력 소모량이 큰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전기료는 그린수소 생산단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칼라인 방식은 그린수소 가격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불가피하다. 현재 그린수소 실증단지내 설치된 그린수소 생산 설비의 안정성도 확보해야 한다. 그린수소 생산 설비는 당초부터 상용화가 아닌 실증용으로 구축됐고, 해안가에 설치돼 있어 부식의 우려가 높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 그린수소 공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그린수소 공급계획이 나와야 수소버스 운행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도내 한 에너지전문가는 "현재 생산시설이 고장날 경우 대응을 할 수 있는 기본운영계획 수립이 절실하고 그린수소 생산·공급계획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주에너지 공사 관계자는 "그린수소는 경제성이 낮다. 그래서 우리가 실증을 추진한 것이다. 비용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가 목표"라며" 그린수소 생산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