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해발 1600m에서 내려오는 계곡이 얼마나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였으면 옛 어른들이 무수(無愁)라는 이름으로 '걱정이 없게 하는' 냇가라고 이름 지었을까? 아니면 냇가 자체에 마을 사람들의 소박한 염원을 담아내는 그릇이 아니었을까. 거대하고 황당한 꿈을 향하여 이상주의적 욕망을 탐하는 것이 아니라, 근심 걱정만 없으면 행복이라 여겼던 굳건한 철학이 느껴지는 마을. 섬 제주에서 유서 깊은 마을을 꼽으라면 광령1리를 빼고 설명하기 곤란하다. 마을 북쪽 '너분절' 지경에 무수천 서쪽을 따라 고인돌 12기가 산포되어 있다. 가히 고인돌 지역이라고 여겨진다. 고인돌 내부와 그 주변에서 탐라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BC200~AD200년 사이에 유행하던 적갈색 토기편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고대 탐라시대 규모가 큰 마을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섬의 여타 고인돌보다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지만 주변에 여러 개의 샘이 있어서 풍부한 생활용수와 토양층이 깊어 농경에도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시대 구분 시점에 국한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농경 이전의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여건을 풍부하게 충족시키는 무수천이라고 하는 생존공간이 있었기에 고인돌문화가 보편화된 시점까지 이르게 된 것이라 판단해야 합리적이다. 아직도 향장(鄕長)의 전통이 엄연하게 유지되는 선비정신의 마을이기에 조상대대로 학자들이 많이 배출돼 세상에 공헌한 분들이 많다고 한다. 강창부 이장에게 마을의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간명하게 대답하였다. "전통계승 의지" 너무 뜻이 커서 구체적으로 쉽게 전달해달라고 하자, 이웃에게 욕먹을 일 하지 않고 사는 것이라고 했다. 이 소중한 정신문화를 간직한 제주의 대표적인 마을공동체. 무수천 팔경을 빼면 광령1리의 절경을 느끼기 어렵다. 비경을 보여주는 8개의 명소를 보면 1경 보광천(光川) 2경 응지석(鷹旨石) 3경 용안굴(龍眼窟) 4경 영구연(靈邱淵) 5경 청와옥(靑瓦屋) 6경 우선문(遇仙門) 7경 장소도(長沼道) 8경 천조암(泉照岩). 해발고도가 비교적 낮아 주거지역 가까운 곳에 이런 심산유곡에서나 만날 수 있는 절경이 있다는 사실이 경이로움이다. 역으로 생각하면 광령1리가 그만큼 자연친화적인 마을이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 팔경에 들어있는 명칭이 놀라운 시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자원이라 아니 할 수 없는 것이 오랜 세월 시인묵객들이 찾아들어와 화답시를 나누며 읊은 그 마음에서 정착된 것이니 그러하다. 이 소중한 자원을 탐방객들이 자연을 통한 힐링 공간으로 만들어나가고자 줄기찬 노력을 하고 있는 마을공동체의 의지와 열망이 더욱 아름답다. 문제는 이러한 귀중한 자원을 그저 광령1리라고 하는 마을역량에만 의존 할 것이 아니라 정책적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시각예술가> 저 밭은 기억한다. <먹 담채 79cm×35cm> 땅이 기억하는 진실을 아무런 색이 없이 오직 먹물로 그렸다. 마치 당시의 흑백사진을 연상이라도 하듯이. 토심이 깊으니 상처도 깊을 것이라는 쓰디쓴 마음으로. 하늘과 땅 사이에 집들이 있다. 파격적인 구도를 설정한 이유는 밭이 가지는 의미를 하늘과 결부하여 표현하고자. 무채색 풍경으로 밭을 그리는 것은 어떠한 이념이라는 색채를 거부하고 싶어서다. 죄 없이 죽어간 분들에 대한 애도의 의미로 밭을 선택하였다. 그 후로도 저 밭에서 매해 곡식이 자랐으며 후손을 먹여 살렸다. 아픈 기억을 간직하고도. 무수천의 가을 <수채화 79cm×35cm>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