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치/행정
청소년 트렌드 반영 못하는 제주 청소년문화의집
제주여가원 청소년문화의집 운영 활성화방안 연구보고서 발간
지자체 직영 88%… 예산 최대 4000만원대·인력 2명 배치 고작
연구진 미래형 청소년 공간 구축 등 5개 영역 13개 과제 제안해
백금탁 기자 haru@ihalla.com
입력 : 2024. 07.15. 15:37:32
[한라일보] 제주지역 청소년문화의집은 지역별로 많지만 소규모에 시설은 낡고 예산과 인력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부분 공공기관이 직영하면서 현재 청소년의 트렌드 반영도 어렵다는 지적이다.

15일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발간한 '제주특별자치도 청소년문화의집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연구책임자 정여진 선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청소년문화의집은 25곳(제주시 13, 서귀포시 11)이며 운영 주체별로 공공기관 직영 22곳(88.0%), 민간 운영은 3곳(제주시 2, 서귀포시 1)이다.

대부분의 청소년문화의집을 공공기관이 직영하면서 청소년지도교사의 고용 안정과 예산 편성이 용이해 재정 투명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시설이 좁고 노후화된 것은 물론 인력과 예산 부족, 시설별 특화 프로그램의 부족 등으로 현재 청소년들의 트렌드 반영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기준, 위탁시설의 연간 예산이 2억원 수준인 반면 직영시설의 예산은 1000만원~4000만원대에 불과했다. 인력도 청소년지도사 1명, 배치지도사 1명 등이 고작이었다.

연구진은 도내 전체 청소년문화의집 운영실태와 대전청소년위캔센터, 광주광역시 청소년삶디자인센터, 서울 서초스마트유스센터 등 타 지역 우수 운영기관 5개소의 사례도 조사했다. 타 지자체는 2018년부터 대국민 인지도 개선을 위해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의 명칭을 '청소년센터'나 '유스센터' 등으로 변경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23~2027)'에서 강조하는 청소년시설의 디지털 전환 선도에 부응하기 위해 기관별로 차별화된 테마 기반의 프로그램을 구축·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진은 ▷제도적 기반 구축 ▷미래형 청소년 공간으로 인프라 및 운영 체계 개선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역자원 연계 및 홍보 강화 ▷종사자 역량 강화 및 소진 예방 지원 등 5개 영역에 걸쳐 세부과제 13개를 제안했다.

세부 과제는 ▷제주특별자치도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수립 ▷테마형 특성화 거점기관 지정 및 운영 ▷청소년수련시설 표준 운영체계 수립 ▷디지털 전환 및 비대면 프로그램 확장 ▷기관별 특화 프로그램 운영 ▷직업체험시설 설치 및 다양한 직업 체험처 발굴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 확대 ▷홍보 채널 강화를 통한 인지도 제고 ▷종사자 역량 강화 및 소진 예방 지원 등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