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오름 혹은 시오름이란 샘이 있는 오름 [한라일보] 한라산 영실탐방로를 따라 오르다 구상나무숲을 벗어나면 고산초원이 펼쳐진다. 여기서부터 왼쪽 오름을 따라 잘 만들어진 나무 데크 위를 걷는다. 이 오름은 봉우리가 하나인가 둘인가. 두 개의 봉우리를 연결하는 부분이 조금 낮아 보일 뿐 뚜렷하게 구분이 되는 정도는 아니다. 첫 번째 마주하는 봉우리를 윗세족은오름이라고 한다. 정상 전망대에서 보이는 경관이 그야말로 천하 절경이다. 오른쪽으로 멀리 윗방애오름, 방애오름, 알방애오름이 보인다. 왼쪽으로는 장구목오름이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이곳에 설치한 설명판에는 이 오름들과 더불어 가장 높게 보이는 한라산 정상이 있는 오름을 '화구벽(백록담)'이라고 표기했다. 설마 고대인들이 주변의 오름들은 다 고유한 이름을 붙였는데, 정작 가장 높은 오름엔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요? 아니면 진짜 화구벽이라고 했다고 보는 건가요? 이 오름이 바로 두무오름이다. 가장 높은 오름이라는 뜻이다. 본 기획 2부를 참고하실 수 있다. 누운오름이라고도 부르는 세오름은 샘이 있는 오름이라는 뜻이다. 김찬수 누운오름은 늘어진 오름, 붉은오름은 불른 오름 윗세족은오름이라는 말은 세성제오름과 세오름의 '세'에서 '삼(三)'을 연상해 지어낸 얘기다. 세오름이 세 개의 오름이라면 윗세족은오름도 별개의 오름이라야 논리에 맞는다고 생각한 나머지 이렇게 이름 지을 수밖에 없었을 테니까. 그렇다면 왜 이 오름을 세오름 혹은 시오름이라는 이름 외에 '누운오름'이라 했는가. '누운오름'이라는 지명은 '서 있는'의 대비지명으로 '누운'이라고 했을 것으로 받아들이기 쉽다. 그러나 실은 '늘어진'의 뜻이다. 즉 '누운'이 아니라 '는'이다. '누운'이란 '선'에 대응하는 지명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다'의 대비는 '앉다'를 쓰지 '눕다'를 쓰지 않는다. 그리고 이 주변에 '선'이라 할 만한 오름은 없다. 윗세족은오름과 윗세누운오름을 하나의 오름으로 본 것이다. 그러면 길게 늘어진 오름이 된다. 퉁구스어로 '느르'는 '긴' 혹은 '산맥'이란 뜻이다. 우리말 '늘다', '늘이다'의 어간 '늘'과 어원을 공유한다. 이렇게 본다면 이 일대는 3개의 오름이 있는 것이 아니다. 누운오름과 붉은오름 2개가 있는 셈이다. 아니면 달리 세오름과 윗세오름 2개가 있는 셈이 된다. 누운오름은 늘어진 오름 혹은 '는오름'이다. 긴 오름이라는 뜻이다. 노루샘의 '노루'는 '얕은 물' 혹은 '젖은 곳'이라는 북방어 '노르'에서 기원한다. 노루샘의 ‘노루’, 짐승 노루와 무관, 성널오름의 ‘널’과 공통기원 김찬수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한편, 본 기획 2부에서 다루었듯이 백록담의 '록', 물장오리의 '장'도 '노르'에서 기원했다. 호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 경우는 퉁구스어로 'noor'라 발음한다. 현대 몽골어에서는 'nuur'라 한다. 이곳 노루샘처럼 '얕은 물'을 지시하는 경우 퉁구스어에서 'ńür-', 몽골어에서 'nor-'로 짧게 발음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세오름은 샘이 있는 오름, 누운오름은 늘어진 오름이다. 윗세오름은 세오름 위의 또 다른 세오름이다. 붉은오름은 불른(부른) 오름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