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설
[사설] 미완의 4·3 해결 위해 도민 역량 모아야
입력 : 2025. 04.03. 00:30:00
[한라일보] 오늘은 제주4·3이 발발한지 77주년이 되는 날이다. 영문도 모른 채 억울하게 스러져간 영령들의 명복을 빈다. 인고의 세월을 견뎌 온 유족들에게도 심심한 위로를 전한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 중 하나인 4·3은 통한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 있어 상당한 진척을 이뤘다. 특별법 제정을 비롯한 진상보고서 발간, 대통령 사과, 국가추념일 지정, 직권재심 통한 희생자 명예회복, 배.보상 등의 성과를 거뒀다. 4·3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4·3은 아직도 미완이다.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시급한 선결 과제는 4·3특별법 보완이다. 잊을만하면 4·3왜곡 등 망언이 튀어 나와 유족과 도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어서다. 4·3 진상조사 결과를 부정하고 왜곡된 주장에 대해 단죄할 수 있도록 처벌 규정이 마련돼야 한다. 또 다른 핵심 과제는 4·3의 올바른 이름을 짓는 정명(正名) 정립이다. 사건 발생 77년이 지나도록 이름을 짓지 못하고 있다. 성격규정과 역사적 평가가 함의된 정명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희생자를 유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유해발굴 조사도 서둘러야 한다. 행방불명인 4000여 명 중 유해가 수습되고 신원까지 확인된 희생자는 고작 147명에 불과하다. 행방불명인은 국가 공권력에 의해 희생된 만큼 유해발굴과 유전자 검사에 국가 차원의 지원과 전문 인력이 투입돼야 한다.

4·3의 완전한 해결은 요원하다. 미완의 4·3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민 사회가 집단 지성으로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