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제주 그린 시와 산문 먹글씨로 쓰다

옛 제주 그린 시와 산문 먹글씨로 쓰다
서예가 부윤자 개인전 '고전 속에 노닐다 Ⅱ' 문예회관 전시실
이건·신광수·임제·광해군 등 유배인과 관리가 남긴 글귀 나눠
  • 입력 : 2021. 09.26(일) 16:22
  •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부윤자 서예가가 쓴 신광수의 '탐라록'.

이방인의 시선으로 제주 섬의 풍토를 읊은 옛 시와 산문이 먹글씨로 살아났다. 지난 25일 시작된 제주 중견 부윤자 서예가의 개인전에서 그 구절들을 만날 수 있다.

지난해 개인전의 흐름을 이어 '고전 속에 노닐다 Ⅱ'란 이름을 단 이번 전시에서 부 작가는 '절해고도' 제주에 다다랐던 조선시대의 관리들과 유배인들이 이 땅에 머물며 느낀 감흥을 적은 글귀들을 뽑아 붓으로 써 내려갔다. 그들의 발자취, 식견과 문화 등을 통해 고전의 가치를 새기고 다시금 제주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했다.

부 작가가 택한 글은 유배생활을 했던 규창 이건이 17세기 초 제주를 기록한 '제주풍토기', 의금부도사로 죄인을 압송해 제주에 왔다가 풍랑으로 40여 일을 체류하며 당시 사회상과 잠녀 등 백성들의 괴로운 일상을 그렸던 조선 영조 때 시인 석북 신광수의 '탐라록', 조선 중기 시인 임제의 제주도 기행문인 '남명소승', 유배인이었던 광해군의 칠언율시 '제주적중(濟州謫中)' 등이다. 부 작가는 "조선시대 제주 유배인과 목민관이 남긴 글을 통해 제주도민의 생활상은 물론 시대성과 역사성이 고이 간직된 제주 유배문화 등을 되짚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부윤자 서예가가 쓴 광해군의 '제주적중(濟州謫中)'

김찬호 미술평론가는 "소암 현중화, 여초 김응현의 영향을 받았고 전·예·초·해·행의 오체를 두루 섭렵"한 부윤자 서예가를 "서법에 충실한 작가"로 평했다. 김 평론가는 "그래서 그의 글씨는 전통의 서법이 드러나 고졸하면서도 질박한 서풍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달 30일까지 문예회관 2전시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52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