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강정 주민의 외로운 사투

[편집국 25시]강정 주민의 외로운 사투
  • 입력 : 2015. 02.03(화) 00:00
  • 백금탁 기자 haru@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2월, 강정에 부는 바람은 여느 때보다 차다. 해군이 지난해 12월 '군관사 정문에 강정마을회가 설치한 농성천막을 일주일내에 자진철거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그리고 50여일이 지난 1월31일 행정대집행을 강행했다. 겨울바람이 세차게 불던 그날,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강정주민과 활동가 등의 손을 잡아준 것은 미미했다. 온몸에 쇠사슬과 따가운 철조망을 감고, 높은 망루에서 위태롭게 선 그들은 목숨을 걸고 공권력과 맞섰다.

그러는 사이에도 정치권과 행정 모두는 침묵했다. 갈등 해결을 최우선 하겠다던 새정치민주연합도, 군관사 건립에 따른 중재에 나서겠다던 제주도정도 이들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들이 선거 때마다 우선적으로 제시했던 공약은 헛구호에 그쳤다.

2006년 10월 제주도 해군기지 영향분석 태스크포스팀과 국내 군사기지 순회방문에 동행했다. 경기 평택항을 시작으로 강원 동해항, 부산 남항, 경남 진해항 등 4곳에 대한 현지조사였다. 진해는 100여년 전통을 가진 곳으로 군사행정에 편중된 곳으로 시민과의 마찰은 심하지 않다. 부산도 마찬가지다. 남항에 접안시설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마을과 많이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뒤편에는 공동묘지가 조성돼 있었다.

동해는 또 다른 면이 있었다. 기지가 들어선 이후에 오히려 주민들이 빠져나가면서 초등학교가 사라지는 등 부작용이 도출됐다. 평택 군기지 인근에 사는 주민도 조상 땅을 내주고 나와 살게 되면서 불편한 심기를 보였던 기억이 있다. 다만 평택은 인천에서 군기지를 옮기는 조건으로 3조원을 투입된 포승단지를 정부에서 받았다.

그러나 강정은 어떠한가. 그들은 생존권을 지키려고 온 몸으로 맞서고 있다. 생존권 보장이 없는 한 그들의 싸움은 그치지 않는다. 정치권과 행정은 더이상 침묵해서는 안된다. 그들을 위해 진실한 행동을 보여야 할 때다. <백금탁 사회부 차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45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