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정부라도 수산물 피해대책 서둘러야

[사설] 지방정부라도 수산물 피해대책 서둘러야
  • 입력 : 2023. 08.24(목) 00:00
  • 한라일보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됐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24일 개시한다는 입장을 밝혀서다. 원전 오염수 방류에 돌입할 경우 제주 수산업계는 소비위축 등으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 정부는 자국 어민들의 피해 대책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아 더욱 더 우려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22일 오염수 방류를 위한 관계 각료회의를 마친 뒤 방류 개시 시점과 관련해 "기상 등 지장이 없으면 24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수십년간 장기에 걸쳐 처리수(오염수) 처분이 완료될 때까지 정부로서 책임지고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해양 방류는 원전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PLS)를 거쳐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해저터널을 통해 흘려보내는 것이다.

일본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오늘부터 시작되면 수산업계의 피해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가 발주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따른 피해 조사 및 세부 대응계획 수립 연구' 용역에서도 나온 바 있다. 원전 오염수 방류 시 제주 수산업계의 피해 규모는 연간 44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 제주 수산업계에는 그 불똥이 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제주동문수산시장은 일본 오염수 여파로 매출이 30% 가량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산물 피해가 이처럼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인데도 정부의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지방정부는 '위기의 수산물'에 대한 피해 대책부터 서둘러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63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