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든 '사다도' 우리가 없애자
2020-12-24 20:00
진수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기 만든 ‘사다도’ 우리가 없애자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을 만큼 깨끗한 자연과 우수한 경관이 어우러지는 곳이며 예로부터 여자, 바람, 돌이 많아 '삼다도'라고 불렸는데 요즘에는 '사다도'라고 불린다고 한다. '사다도'라고 불리는 이유는 쓰레기 문제 때문이다. 인구 및 관광객 증가, 경제규모 확대, 생활 편의 추구 등으로 쓰레기 배출량이 증가해 그에 따른 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요즘 제주해안가의 쓰레기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쌓이는 곳 중의 하나이다.  그 중에 절반이 넘는 52%가 플라스틱 쓰레기이며 해안으로 밀려오는 쓰레기는 조류의 흐름과 영향이 크기 때문에 중국과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에서 밀려오는 쓰레기 역시 적지 않다. 지난 1월 제주 해상에서 16년 만에 멸종 위기종 대형고래 사체가 발견돼 부검한 결과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 가닥, 어망조각, 스티로폼 등 50여개의 플라스틱이 발견됐다.해양생물보호종으로 보호를 받고 있는 토종 돌고래로 불리는 상괭이 역시 올해 들어서는 벌써 40여 마리가 사체로 발견됐다. 2018년 8구, 2019년 44구에 이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불법 포획 흔적은 없어서 혼획에 의해 그물에 걸려 죽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부패 정도가 심패 사망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가 무심코 버린 쓰레기가 해양생물들이 먹이로 착각해 삼켰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일상화 되고 있다. 제주는 해마다 일백억 원이 넘는 쓰레기 수거 및 처리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도민들과 관광객에 의해 무심코 버려지는 쓰레기가 다시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기 때문이다. 해양당국을 비롯한 행정에서 많은 예산을 투입해 수거를 한다 해도 버려지는 양이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난다면 차라리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하다. 이제는 우리가 제주바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하지 않는 한 제주의 바다를 깨끗이 되돌리기는 힘들어진다. 이제는 지금까지의 행정기관, 자원 봉사단체들에 의한 수거 중심 활동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우리가 해양쓰레기 배출 줄이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바다 정화활동과 함께 바다로 버리는 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힘써야 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진수빈

No 제목 이름 날짜
2837 코로나 19 팬데믹에 다시 버스문제 수면위로 올라와…….  ×2 현가윤 12-29
2836 울퉁불퉁한 도로 이대로 괜찮은가  ×1 김단비 12-28
2835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 졸업 앞둔 장애학생 진로설계 지… 현윤호 12-28
2834 2020 제주, 그리고 MICE 산업  ×1 ×1 한덕환 12-27
2833 노동자도 사람이다.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3학년 강승한 12-27
2832 배달, 주문만 스마트하게? 포장 배출도 스마트하게!  ×1 홍석준 12-25
2831 제주도 미관 해치는 쓰레기 문제  ×1 이상준 12-25
2830 유튜브, 넷플릭스가 환경을 오염시킨다?! #디지털 탄소발자국  ×1 김유영 12-25
2829 성이시돌복지의원, 성이시돌요양원 방문 위문금 전달  ×2 차승호 12-25
> 우리가 만든 '사다도' 우리가 없애자  ×1 진수빈 12-24
2827 인지활동프로그램 김임연 12-24
2826 년말 엉터리 운수 보기 김승범 12-23
2825 보도블록의 배신!!! 김지영 12-21
2824 도남동에서 나는 쓰레기 냄새  ×1 김보영 12-21
2823 어린이보호구역 이대로 놔두어도 괜찮은가? 한지원 12-21
2822 나이 드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제주 사회를 기대하면서  ×2 비밀글 고경희 12-20
2821 심각해지는 아파트 주차공간 부족 문제… 비밀글 문지원 12-19
28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지구와 밀당 중  ×1 이소리나 12-19
2819 학교의 밤도 "낮"처럼?  ×2 성예린 12-18
2818 2020 제주감귤박람회가 주고 간 선물 감귤박람회조직위 12-16
2817 일도이동 길고양이 문제 김서현 12-16
2816 꺼진 가로등을 켜주세요 김효린 12-16
2815 오라동 오라초등학교 앞 무단횡단 문제가 심화되었다. 김민서 12-16
2814 놀 곳이 없는 아이들 김수진 12-16
2813 바뀌지않는 신호등, 주민들은 불편하다 김채윤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