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2022-10-18 19:27
기고문.hwpx ( size : 883.95 KB / download : 1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조윤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요즘 제주에서 가장 심각하게 두드러지는 문제는 갯녹음 현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제주의 바다는 이미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사막이 되어가고 있다.
갯녹음 현상은 바닷물 속에 있는 탄산칼슘이 녹지 못해 해저의 바닥이나 암반에 하얗게 달라붙는 현상으로 사막화 현상이라고도 한다.
녹색연합은 올해 2~3월 제주도 내 43곳을 선정해 갯녹음 진행 상황을 발표했는데 제주시 권역은 19곳 중 12곳이 ‘진행단계’, 7곳이 ‘심각단계’이다. 특히 서귀포시 권역은 조사대상지 24곳 모두 ‘심각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갯녹음 현상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해양오염, 과도한 연안 개발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해조류가 사라지고 해녀의 작업 공간인 마을 어장의 생태계가 훼손된다. 심각하게는 제주의 문화유산인 제주 해녀가 소멸할 수도 있다.
해조류는 이미 사라지기 시작했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뭇가사리 생산량은 2011년 4830t에서 지난해 350t으로 4480t(89.8%) 급감했다.
미역류 생산량은 2011년 205t에서 2021년 59t으로 146t(65%) 감소했다. 모자반류 생산량도 2011년 260t에서 2021년 13t으로 247t(95%), 톳 생산량은 2011년 1518t에서 2021년 29t으로 1489t(98.1%) 줄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중림을 조성했지만, 오히려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사라지는 해조류를 다시 번식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인공어초를 해저로 내려보냈다. 그러나 이 인공어초에서 녹아나는 석회석으로 인해 갯녹음 현상이 더욱 심각해졌다.
이에 정부는 갯녹음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첫째, 바다숲 조성 사업이다. 바다숲을 조성한 지역에는 사막화된 바다에 살 수 없었던 소라와 같은 바다생물이 다시 나타나는 등 확실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바다식목일 지정이다. 국민들에게 해양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매년 5월 10일을 바다식목일로 지정한 것으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정해진 날이다.
여전히 갯녹음 현상은 심각하다. 이를 막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들의 노력이다.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 일상생활에서부터 작은 노력을 실천한다면 그 노력들이 모여 바다를 지킬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
3323 기고(윤달 앞두고 화정서비스 확대)  ×1 제주도청 유은숙 02-06
3322 서귀포4-H회장 소고  ×1 ×1 서귀포 4-h회장 소고 02-03
3321 자발적인 마스크 착용의 중용성  ×1 ×1 김성봉 02-01
3320 안전하고 행복한 이사를 위하여  ×1 박창형 01-31
3319 [기고]공사장 용접 작업 시 안전 수칙 잘 지키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문종호 01-27
3318 기초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1 제주도청 유은숙 01-25
3317 고향집, 화재예방을 선물하세요  ×1 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고길훈 01-21
3316 우도119지역대-남·여 의용소방대 취약계층 생필품 지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김정호 01-20
3315 양지공원 특별관리대책 추진협조  ×1 도청 노인복지과 유은숙 01-16
3314 (기고)영세 지방세 납세자를 위한 선정대리인 제도  ×1 고종필 01-13
3313 소방시설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엄근진’하자  ×1 서부소방서 영어교육도시119센터장 김 01-10
3312 세상을 바꾸는 소통의리더십  ×1 오조리마을회 01-08
3311 겨울철 3대 화재 위험 전기제품!  ×1 김재업 01-05
3310 [기고] 身土不二 농축산물로 기부촉매제 역할을 하자!  ×1 ×1 배동언 01-04
3309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 도내 특수학교(급) 졸업을 앞둔 장… 오경미 01-03
3308 소상공인 탄소포인트제를 아시나요!  ×1 고기봉 01-03
3307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너도나도 우산함께' 사회적경제 인식개…  ×1 서귀포YWCA 12-29
3306 제주일고 38회 동창회 시온빌 자립생활관 후원  ×1 김정미 12-28
3305 한라야생화 온라인전시회에 초대합니다.  ×2 김평일 12-25
3304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어르신 활동작품 전시회 “원광愛 작은 행복이…  ×2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12-23
3303 한국전기공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천사의집에 성금기탁  ×1 천사의집 12-19
3302 디지털시대에 적응하는 우리 멋져요  ×1 강건혁 12-18
3301 심폐소생술! 의무교육으로  ×1 비밀글 성산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