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공사장 용접 작업 시 안전 수칙 잘 지키자
2023-01-27 10:30
|
|||
---|---|---|---|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문종호 (Homepage : http://)
|
|||
작년 2022년 1월 6일 경기도 평택 냉동창고 공사장 화재로 소방관 3명이 순직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였다. 공사현장은 작업 특성 상 내부에서 작업하므로 주변의 물건들이 점화원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특히, 페인트와 같은 유증기가 발생하는 물체와 대기중의 공기가 섞인 상태에서 용접 불티에 의해 불이 붙은 경우, 급격한 연소 확대로 인하여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건물 전체로 연기가 뒤덮혀 신속한 피난이 어렵고, 다량의 유독성 가스로 인하여 의식이 잃을 수 있어 인명피해가 크다. 건설 현장 작업자들은 항상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공사현장 화재 예방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첫째로 임시소방시설 설치가 있다. 임시소방시설에는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간이피난유도선이 있다. 공사현장에는 완전한 소방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임시소방시설 설치로 공사 현장에서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용접 작업 시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는 것이다. 용접 작업 시 주변 가연물을 제거하거나, 작업 후 잔여 불씨 확인 점검, 불티 비산 방지 덮개 설치 등과 같은 안전사항을 사전에 점검한다. 또한 환기를 실시하거나 작업자로부터 반경 5m 이내 소화기 비치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건설현장에는 다양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곳이다. 그렇기에 사소한 것 하나를 소홀히 하다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제주도민 10명 중 7명 “행정체제 개편 필요” [여론조사]
신제주권 중·고등교 '신설'?… "타당성 낮다"
탐나는전 10%·5% 현장할인 30일쯤 중단될 듯
"들불축제 유지하되 변화 필요" 권고… 제주시 선택은?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6일 제주뉴스
시군구 기초자치단체·행정구역 현행대로 2개 ‘선호’ [여…
창업하기 좋은 서귀포로… 유망 기업 이전 꾸준
직무 수행 오영훈 54.5%, 김광수 62.9% “잘하고 있다” [여론조…
제주 교통사고 연휴 전날 많고 오후 12시~2시 빈번
[현장] 추석 앞둔 제주 이른 귀성행렬·제수용품 준비 '북적'
[아시안게임] '우승후보' 임성재 28일 금메달 도…
성산포수협 조합장 보궐선거 후보 2명 등록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7일 제주뉴스
제주 등 전국 5개 국제공항 테러 예고 30대 구속 …
제주 상용근로자 임금 4.5% 인상에도 전국 최저 …
"귀성·관광객 잡아라"… 도·도의회 고향사랑기…
모금함 훔쳐 조사 받던 40대 또다시 절도 결국 구…
제주도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지역균형발전 컨…
제주국제공항, 소방청 안전진단서 무더기 지적
서귀포 아랑조을거리 경관 조형물 10년 만에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