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쓰게마씨](17)허성수 제주어보전회장

[제주어 쓰게마씨](17)허성수 제주어보전회장
토종 풀꽃같은 제주어에 거름을
  • 입력 : 2008. 08.14(목) 00:00
  • 진선희 기자 jin@hallailbo.co.kr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초록 풀나무로 숲을 이룬 도심 '자연학습장'에서 만난 제주어보전회 허성수 회장. 그는 제주말로 부르던 풀꽃 이름이 가물가물해지듯 제주어도 급격한 변화의 물결에 휩쓸릴 것이라는 생각에 민간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제주어보전회를 꾸렸다. /사진=김명선기자

지난 1월 창립 전국 30~70대 연령 회원 참여

마을별 제주어지킴이 운영 장기과제로 세워



이름모를 풀과 꽃이 숲을 이루고 있었다. 한 걸음만 옮겨놓으면 아스팔트를 내달리는 자동차들이 꼬리를 무는 곳인데 말이다. 회색 콘크리트숲에도 그렇듯 초록빛이 숨어있었다. 섬의 빛깔을 잃은 언어들이 어지러이 춤추는 속에서 살가운 제주어를 붙잡으려는 사람들이 있는 것처럼.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자연학습장'. 그곳에 한여름 모기떼에 뜯겨가며 꽃과 나무에 물을 대고 김을 매는 사람이 있다. 제주어보전회 허성수 회장(65)이다. 2000년부터 이 땅의 풀꽃 따위를 한데 모은 어린이 체험 공간을 만들어오고 있는 허 회장은 그 날도 땀을 쏟아내며 그 일에 매달려 있었다.

제주어보전회가 꾸려진 것은 지난 1월. 어느덧 반년을 넘어섰다. 창립때만 해도 1백명 정도에 불과하던 회원수가 지금은 1백80명에 이른다. 33세부터 78세까지 연령층이 두텁다. 농업인, 주부, 자영업, 교사, 연극인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이다. 열성 회원들이 많다. 얼마전 한경면 용수리에서 열렸던 절부암음악회 행사장에서 '제주어=국보'라는 큼지막한 펼침막이 달린 승합차를 본 적이 있는데, 그 차 주인이 제주어보전회원이란다. 서울에서, 경기도에서, 부산에서 제주어보전회에 가입한 이들도 있다.

"작년 제주어 세미나 자리에서 국회의원들이 축사만 하고 자리를 뜨는 걸 봤다. 제주어를 어떻게든 살리자고 말만 해놓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으려 하는 것 같아 '부에'('화'를 뜻하는 제주어)가 났다. 제주어 보전에 대한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더라."

허 회장은 그 길로 제주섬 구석구석을 돌면서 2백~3백명쯤 만났다고 했다. 머릿속에 맴돌기만 하던 생각은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차츰 구체화됐다. 다들 제주어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누군가 나서주길 바랐던 거다.

그들의 바람은 제주어보전회 창립으로 모아졌다. 학계, 교육계, 행정의 역할 말고 민간에서 해야 할 몫이 있을 터, 제주어보전회가 그 짐을 지기로 했다. 이즈막에 사단법인 등록을 위해 막바지 작업을 벌이고 있는 제주어보전회는 크고작은 사업을 구상하고 있지만 마을별 제주어 지킴이 운영을 큰 목표로 세워놓았다. 제주어 지킴이들이 지역별 어린이 교육, 제주어 수집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줄 거라 기대하고 있다.

'자연학습장'을 빠져나올 때쯤, 제주어보전회의 회원 몇몇이 찾아들었다. 새비낭(찔레), 소앵이(엉겅퀴), 맹게(청미래), 가신새(파리풀)처럼 그 공간 역시 잊혀져가는 제주어가 있는 곳이다. 생명력 질긴 풀꽃이 외래종에 가물가물해지듯 제주어도 그럴까 싶어 회원들은 그곳에 가면 식물의 이름을 가만가만 부르곤 한다.

"제주어는 오래지 않아 소멸될 위기에 있다. 이는 오로지 시류에 따른 상황이며 불가시적인 정신 세계를 홀대하고 방언을 열등하고 저급한 언어로 인식한 결과이다."

제주어보전회는 설립 취지문에서 그렇게 말했다. 제주의 언어에 제주의 정신이 담겼다는 생각. 제주어보전회원들은 그 뜻을 새기며 먼 길을 향한 걸음을 떼어놓고 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95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제주지킴이 2008.08.15 (03:32:19)삭제
위 진선희기자의 기사 내용중 제주어=국보란 문구는 제가 운전하고 다니는 차 앞에 부착한 내용입니다. 제주어를 세계유산에 등재하자는 운동은 벌이면서 국내에서는 말 뿐이지 누구도 귀히 여기지 않는 현실에 저 혼자의 작은 외침이나마 시작했습니다. 도에서 도 지정문화재로 지정를 한다든가 국가에서 무형문화재나 어떤 식으로라도 대접을 해 주어야 세계에 나가서 등재해 달라고 말할 구실이 서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 기회를 빌어 제주도내 지식인이란 분들과 제주어를 연구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애절한 삼정 몇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제주어의 소중함을 우리가 먼저 지키는데 앞장 서 주시기 바랍니다. 제주어를 세계유산에 등재하고자 시작한 단체는 제주도내에 어느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국립국어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림국어원이 나설 수 있겠지만 우리 것은 우리 손으로 하면 안 되겠습니까? 우리 자식을 옆집 엄마가 데려다 상타게 해주면 남 부끄러운 것 아닐까요? 제주어가 금명간 사라진다. 제주어는 고어가 살아있는 소중한 언어이다. 보존해야 한다. 보전해야 한다. 누가 보존하고 보전할 수 있습니까? 우리네 무지랭이들은 죽었다가 깨어나도 못 합니다. 그래도 제주도내에 지식인이라는 분들이 그래도 제주대학에 계시는 해당학과에 훌륭한 선생님들이 앞장 서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2. 제주어 말하기 대회에 관하여..... 대표적으로 탐라문화제에서 제주어 말하기 대회를 열고 지역에서도 간간히 대회를 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전에 제주대학교에서 제주어 말하기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관심이 있던 저는 대회장에 가서 감짝 놀랐습니다. 일반부 대회 참가자가 3명이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무슨 이유가 있겠지만 명색이 제주도의 최고 지성인 제주대학교에서 주최하는 행사에 참가한 일반부 인원이 3명 이내가 너무 어이가 없었습니다. 그런 가운데도 대상을 시상하는 모양은 더 웃음거리였습니다만 더 이상은 제주어를 빌미로 연구실적 보고서에 꺽기 표시 하나 추가하려는 행위는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올바로 된 표기법 정리에 관하여... 안타깝게도 공인된 제주어 표기법이 없습니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주도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아래아를 없애 버렸다는 아쉬움만을 토로하지 말고 제주어를 훈민정음에 끼워 맞추어 혼란을 초래하지 말고 제주어는 제주도만의 "고유한 언어(Own language)"이다 에서 시작하여 제주어만의 고유한 문법을 정립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주어, 제주말, 제주사투리 도대체 어느 것이 맞는 말입니까? 도민들이 공통적으로 널리 사용할 아주 기본적인 것 부터 통일을 시켜 주시기를 거듭 당부드립니다. 소(牛)를 "쇠"로 써야 하는지 "쉐"로 써야 하는지 우리는 모르니 그때그때 마음 내키는 대로 사용합니다. 선생님들이 수고스러우시겠지만 머리를 맞대고 연구해서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어쭙지 않은 말로 주절댄 이글에 심기 불편하신 분이 계시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리겠습니다. 당부의 말씀을 드린다는게 그만 격한 표현이 곳곳에 있네요. 악의가 없음을 헤아려 주시기 바라며 만약 저에게 가르침을 줄 분이 계시면 이메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