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세상]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결과물"

[책세상]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결과물"
허은의 '냉전과 새마을'
새마을에 관한 재고찰
  • 입력 : 2022. 04.08(금) 00:00
  • 오은지 기자 ejo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1970~80년대 울려 퍼졌던 "잘살아보세"라는 노랫소리와 함께 마을길이 넓혀지고, 초가지붕이 개량되던 '새마을 운동'. 허은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최근 펴낸 '냉전과 새마을: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창비)에서 이러한 모습은 박정희 정부가 건설하고자 한 새마을의 단면일 뿐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책에서 새마을의 전모를 동아시아 냉전의 맥락에서 거시 역사적으로 탐구한다. 그리고 새마을에 기반한 ‘1972년 분단국가체제’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한다.

지금 이 시점에 새삼스레 새마을과 분단국가체제를 고찰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우선 저자는 학문적인 이유를 꼽는다. 그는 "지금까지 새마을운동과 관련된 새마을의 이미지는 냉전과 분단, 억압적인 지배체제와 철저히 절연된 1970년대 역사상을 그린다"면서 "새마을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냉전의 결과물이기에 새마을에 관한 재고찰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 하나는 현재적인 이유다. 저자는 6월항쟁 이래 30년이라는 탈냉전기를 거치는 동안 각종 사회갈등이 폭발 직전까지 치달았는데, 이런 와중에 한국사회가 추구하는 인간다움이, 이를 위한 공동체의 모습이 무엇인지 그리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변화를 만들어왔던 민초의 여러 실천을 읽어내며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찾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한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냉전의 새마을'의 원형을 이루는 1930년대 만주국 농촌사회를 고찰한다. 2부는 시공간을 달리한 역사적 경험이 동아시아 냉전의 전개 속에서 교류되는 과정을 다룬다. 3부는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역사적 전환기'로 불렸던 시기를 조명한다. 4부는 안보에 초점을 둔 '지역방위체제' 구축을 통한 농촌사회의 재편을 살펴본다. 종장에서는 냉전의 새마을에 기반을 둔 1972년 분단국가체제의 역사적 성격을 정리하고, 냉전을 위한 공동체가 아닌 인간을 위한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전환을 살핀다. 2만8000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07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