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2023년 노동·교육·연금 개혁 원년 돼야"

윤 대통령 "2023년 노동·교육·연금 개혁 원년 돼야"
21일 정부 부처 신년 업무보고 시작
내년 석가탄신일·성탄절 대체공휴일 적용
  • 입력 : 2022. 12.22(목) 09:35
  • 부미현 기자 bu8385@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월 2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발제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라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노동·교육·연금 개혁이 인기가 없더라도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해내야 하고, 2023년은 개혁 추진의 원년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획재정부로부터 첫 신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기재부 업무보고는 제12차 비상경제민생회의 및 제1차 국민경제자문회의를 겸해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정부가 출범하고 세계적 경제 위기의 파도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 일단 긴급한 현안 대응 위주로 금년도 정책을 실행했다"며 "이제 우리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잘못된 제도, 이런 적폐를 청산하고 제도 개선을 하기 위한 개혁을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획재정부는 대통령 업무보고 뒤 2023년 경제정책 방향과 관련한 관계 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내년 상반기를 중심으로 금융·부동산 시장과 민생경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제를 재도약시키는 목표를 제시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 경제는 상반기에 수출, 민생 등의 어려움이 집중되고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회복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계·노동계·정치권 등 각계에서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조금씩 양보하고 힘을 모아달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내년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에 석가탄신일과 성탄절이 추가하기로 했다. 전 국민의 휴식권 보장 차원에서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을 추가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한편 기재부를 시작으로 정부 부처는 내년 1월까지 업무보고에 나선다. 대상은 18개 부와 4개 처, 4개 위원회, 국세청 등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업무보고는 이달 중 진행될 예정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19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