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돌봄 필요한 발달장애인… 일상 안 치료 지원 절실"

"평생 돌봄 필요한 발달장애인… 일상 안 치료 지원 절실"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14일 정책토론회
토론자들 공적 영역서 발달재활 지원 필요성 강조
장애아 지원 특수교사·치료사 안정 확보도 과제로
  • 입력 : 2023. 03.14(화) 17:31  수정 : 2023. 03. 16(목) 09:50
  • 김지은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14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가 주최·주관한 '발달장애 아동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강희만기자

[한라일보]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조기 진단·치료가 절실하지만 이를 통합 지원하는 기관이 부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발달장애아 가정의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덜기 위해선 학교 등 일상 안에서 치료를 지원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14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발달장애 아동의 발달재활 치료비 부담(본보 지난 2월 1~2일자 보도) 등이 제기되면서 마련된 자리다.

발달장애아 부모인 정성희 씨는 이날 토론자로 나서 "발달장애인은 다른 장애 유형과 달리 자립 역량이 부족해 평생 돌봄이 필요하다"면서 "그만큼 당사자와 가족의 정신적, 경제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이들의 장애가 의심됐을 때 처음 만나는 기관이 병원이지만 18개월까진 판정을 하지 않고 지켜보자고 한다"며 "이 때문에 부모들은 무분별한 인터넷 정보로 아이의 발달상태를 판단하거나 전문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고 토로했다.

정 씨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아이에게 우선 필요한 치료가 무엇인지 조언하고 부모 상담도 함께 지원하는 장애아동 통합지원센터가 필요하다"면서 "장애아 부모들의 치료실 선택과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선 어린이집, 복지관, 학교 등 공적 치료 서비스 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했다.

|"발달장애아 지원 멈춰선 안돼… 인력 확보도 중요"

도내 장애아 전담 어린이집인 낮은울타리 어린이집 전연경 원장은 자신이 방문했던 미국 유치원 사례를 거론하며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지원은 논스톱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원장은 "해당 유치원은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완전통합을 하고, 통합교실에선 장애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사가 비장애 아동과도 함께 상호작용하며 심리치료를 했다"며 "발달장애아동의 치료가 치료실이 아닌 교실에서 이뤄지고, 치료사가 교실 안에서 치료를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 원장은 '미국 교실'처럼 장애아의 모든 일과와 연결돼 언어, 감각통합, 심리운동 등 다양한 치료가 이뤄지는 '초학문적 접근'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특수교육기관은 대부분 공교육 기관이지만 한국은 사립기관이 훨씬 많아 지원 기관이 다양해도 초학문적 접근을 불가능하게 한다"며 "지역아동지원센터 등의 적합성을 살펴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지원이 멈추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그 역할을 할 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애아동을 지원할 도내 특수교사, 치료사 부족 문제도 과제로 제시됐다. 김현주 제주도장애인종합복지관 아동교육지원팀장은 "통합어린이집 뿐만 아니라 복지관 통합보육지원센터에서도 특수교사 채용의 어려움이 있어 지난해 5개월 넘게 특수교사를 구하지 못해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이런 경우는 매년 반복되고 있다. 장애영유아 조기 발견과 조기 중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는 특수교사와 치료사 등 전문인력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은경 (사)한국언어재활사협회장은 "발달장애는 조기진단, 조기중재가 중요함에도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는 시기는 평균 7.3세이며 지적장애의 경우 7.9세가 돼야 선별되고 있다"면서 장애아 조기 검진을 위해 병원 외 검증된 사설 센터 등에서도 진단, 재활치료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 회장은 "민간시장 활성화를 위해선 바우처 언어재활 지원 단가를 상향해 언어재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며 학교 상주 언어재활사, 성인기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증진 바우처 서비스 등 도입에 국가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09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