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하천을 통해 정수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용천수를 하천수가 아닌 지하수로 분류하는 것은 엄격한 수질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래픽=한라일보 DB
성산 2023.06.08 (09:40:37)삭제
제주섬 1호 화산 분출했던 장소,,일출봉 앞바다,, 2호 백록담입니다
따라서 용암동굴이 제일 많은곳이 성산입니다.
■■2공항 주변.용암동굴 5개이상 또.있다
수산동굴 4.8km..소천굴 4.1km..가지굴 3430m..지굴 685m. 용암동굴이 몇개인지?
뮨화재청에서 지속적으로 동굴 발굴하면.
성산 2공항일대 최소 동굴 5개 이상.20km이상의 용암동굴 실체가 나타난다
성산은 동굴 관광으로 먹고살기를 큰 기대한다 |
도민 2023.06.08 (04:08:24)삭제
2공항과 수산동굴 서로 연결 99.99%확실
ㅡ수산동굴 4,850미터이상,폭30미터
빌레못 동굴(9020m)과 만장굴(7400m)에 이어 제주에서 세번째로 긴 동굴
ㅡ3D대략스캔 조사 1.2키로 2공항과 이격에 불과하나,
ㅡ추가 동굴 정밀조사하면,활주로 관통하여,,해안선까지 동굴 연결이 확실시하다.
활주로와터미널에는 클리커층 존재로 보아서 (국토부 용역자료 18개소 )
2공항 지하엔 용암동굴이 확실하다 ( 제주동굴 순위 1위예상)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공항 활주로 지하엔 5m~9.6m에 사이
클린커층 18개소 존재를 확인 해줬다..
ㅡ활주로 지하 여부를 검증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