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제주도 분산에너지 지원센터' 제막식. 한라일보 DB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예정대로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이하 분산특구)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지난 1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가운데 결실을 맺을지 주목된다. 3가지 분산특구 유형 중에서 '신산업활성화형' 분야에 신청서를 낸 제주도는 "에너지 신기술을 활용한 신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지역 단위의 혁신적인 에너지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6일 제주도가 발표한 계획안에 따르면 분산특구 운영을 통해 도내 분산된 에너지 자원들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인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플랫폼에 기반해 에너지저장장치(ESS), 차량-전력망 연계(V2G), 수요 혁신 등 3개의 핵심 사업 모델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체계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제주도는 2022년 4월 산업부와 '제주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본 계획'을 수립한 이후 실무 협의체를 운영하며 관련 전문가, 사업자들과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 왔다. 또한 한국전력, 한전KDN, 제주 지역 14개 국가 공공기관과 잇따라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를 갖췄다. 지난 2월엔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계통 안정화를 위한 컨트롤 타워인 '제주도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출범시켰다.
제주도는 5월 13일까지 분산특구 계획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을 진행한다. 분산특구 지정은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실무위원회 평가,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말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주도는 제주연구원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산특구로 지정될 경우 오는 2032년까지 29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 유치, 1900여 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분산특구는 제주도정에서 2022년부터 장기간 준비해온 역점 계획인 만큼 제주도의 역량을 총결집해 반드시 지정되도록 하겠다"며 "이를 통해 에너지 생산과 소비, 정책 결정 등에 시민 참여를 확대하는 등 에너지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2035 탄소중립 비전을 달성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해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계기로 분산특구 지정을 준비해 왔다. 분산특구는 전력망 건설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지역 내 전력 생산·소비의 균형을 도모하고 규제 특례 조항을 토대로 혁신형 분산 에너지 사업을 육성하는 데 목적을 뒀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