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3)다른 지방 정비·활용 사례-① 충북 단양 '소백산화전민촌'
47억 투입 화전민촌 재현 정비체험형 숙박시설로 2010년 개장현재 일부 폐쇄, 정상 운영 모색 화전특별취재팀은 지난 10월 31~11월 2일 다른 지방의 화전 문화 콘텐츠 정비 활용사례 등을 돌아보기 위해 충북 단양군과 경북 영양…
이윤형 기자 ㅣ 2024. 11.21. 03: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2)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⑦ 한남리 머체골 화전
[한라일보] 한라산 흙붉은오름(해발 1391m)에서 발원하는 서중천은 약 23㎞를 내달려 제주 남동부 해안까지 이어진다. 하천의 대부분은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를 남북으로 가로지른다. 깊은 계곡과 크고 작은 물웅덩이 등이 곳곳…
이윤형 기자 ㅣ 2024. 11.14. 03: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2)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⑥ 수망리 중잣성과 화전
[한라일보]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민오름 북쪽. 중산간 지대인 이곳 평원지대는 돌담이 1m 안팎 높이로 수백m 길게 연결돼 있다. 바로 조선시대 국영목장을 관리하기 위해 쌓은 중잣성이다. 중잣성은 목장지대뿐만 아니라 숲속…
이윤형 기자 ㅣ 2024. 11.07. 03: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2)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⑤와산리 종남밧 일대
[한라일보] 해방공간의 혼란기에 벌어진 제주4·3사건은 제주 마을 공동체에 커다란 상처를 남겼다. 그때까지 명맥을 잇던 중산간 지대 화전 마을 대부분이 이 무렵 사라졌다. 4·3 당시 제주도내 12개 읍면 165개 마을 중 57%에 달하…
이윤형 기자 ㅣ 2024. 10.31. 03: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2)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③교래곶자왈과 북받친밧
[한라일보] 화산섬 제주도의 독특한 지형인 곶자왈이 넓게 펼쳐진 중산간 마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이곳에는 곶자왈 지대에 첫 조성된 교래자연휴양림이 있다. 면적만 해도 2.3㎢에 이른다. 이 일대는 조선시대 국마장이 자리…
이윤형 기자 ㅣ 2024. 10.17. 03: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2) 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①-천연림 속 숨겨진 능화동 화전마을
[한라일보] 한라산 정상이 지척인 곳, 해발 1000m 가까이 되는 능화오름(고도 975.5m)이다. 원시림을 연상케 하는 삼림지대가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이곳은 일반인들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예전 한라산 등정로이자, 19세기말 …
이윤형 기자 ㅣ 2024. 09.12. 04:00:00
섬 속의 섬 초등생들 숲 체험 나들이
숲 체험 기회가 적은 섬 속의 섬 어린이들이 사려니숲과 한라산둘레길 일대에서 열린 청소년 숲아카데미 행사에 참여 눈길을 끌었다. 지난 21일 제주시 비자림로 사려니숲 일대에서는 2024 사려니(한라산둘레길)숲 아카데미 행…
이윤형 기자 ㅣ 2024. 06.24. 03:00:00
[사설] 숨골 실태조사, 보호·관리방안 서둘라
[한라일보] 숨골은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 함양 통로이자 소중한 환경자산으로서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럼에도 이제껏 숨골의 정의가 무엇인지조차 정립되지 않은데다, 전수조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
이윤형 기자 ㅣ 2024. 06.07. 00: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Ⅱ] (1)다시 시작하며..
[한라일보] 본지가 올해 '잊혀진 농업 유산 제주의 화전'-시즌 Ⅱ 탐사보도를 이어간다. 지난해에 이어 화전 마을의 흔적을 쫓고, 그 속에 숨겨진 화전민, 제주민들의 삶과 역사를 날줄씨줄로 조명한다. 제주에는 70여 마을에서 …
이윤형 백금탁 기자 ㅣ 2024. 04.22. 00:00:00
올해 한라산둘레길 등 국가숲길 운영 어떻게
[한라일보] 한라산둘레길을 비롯 전국 국가숲길의 체계적인 운영 관리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국가숲길 관계자 워크숍이 20, 21일 서귀포시 칼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2024년도 국가숲길 워크숍은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인 …
이윤형 기자 ㅣ 2024. 03.22. 15:33:37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 (4)에필로그
[한라일보] 화전은 오랫동안 제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었다. 단지 수십 년 동안 제주사회가 외면하고, 시간이 흐르면서 잊혀졌을 뿐이다. 본보 특별취재팀이 지난 6월부터 제주 화전의 흔적을 찾아 나선 6개월은 잊…
이윤형 백금탁 기자 ㅣ 2023. 12.07. 00:00:00
'1만번의 오늘' 지속가능한 제주 동반자 되겠다
[한라일보] '도민의 신문'을 표방하며 창간한 제주의 대표신문 한라일보가 오늘 지령 1만호를 맞이했다. 1989년 4월 22일 창간 이후 34년 7개월 9일 동안 끊임없이 달려온 끝에 이룩한 역사적 기록이다. 한라일보는 창간부터 제주사…
이윤형 기자 ㅣ 2023. 12.01. 00: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 (3)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⑫아라동 죽성, 민밧
[한라일보] 제주시 아라동 삼의악 근처. 분지처럼 생긴 너른 평원지대가 있다. 제주시민들에게는 고사리밭으로 알려진 곳이다. 해마다 봄철에는 고사리 꺾는 사람들이 즐겨찾는 이곳은 예전에는 화전 지대였다. 1950년대 초반까…
이윤형 백금탁 기자 ㅣ 2023. 11.30. 00: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 (3)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 ⑪상잣성과 용강·영평동 화전
3소장 일대 1㎞ 이상 상잣성 분포대규모인데다 축조 당시 원형 유지제주도 조사보고서에도 없어 주목 [한라일보] 제주시 봉개동 절물오름과 샛개월이오름으로 둘러싸인 해발 580~600m 일대. 산림이 우거진 사이로 너른 목장지…
이윤형 백금탁 기자 ㅣ 2023. 11.16. 00:00:00
[잊혀진 농업유산 제주의 화전(火田)] (3)떠난 사람들, 남겨진 흔적들- ⑩금악리 오소록 마을
사람들 떠나고 마을 이름만 남아집터는 경작지로 변해 흔적 ‘생생’부동산 열기에 토지 팔려나가 화전민 이용 마을 당 존재 확인"사라질 우려 속 관심 가져야" [한라일보] 말 그대로 "오소록'한 분위기가 가득한 곳이다. 한림…
이윤형 백금탁 기자 ㅣ 2023. 11.09.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