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에너지의 메카... 바닷속은 황폐화 심각

신재생 에너지의 메카... 바닷속은 황폐화 심각
생사료찌꺼기 암반마다 뒤덮어 모래언덕 둔갑
  • 입력 : 2016. 01.24(일) 16:28
  • 고대로기자 bigroad@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육상양식단지(140만3968㎡)는 지난 1999년 옛 북제주군이 70억원을 투자해 경영수익사업 일환으로 만든 곳이다.

 이곳을 선택한 것은 풍부한 지하 해수가 부존해 있고 겨울철 지하해수의 최저수온이 17~18℃로 유지돼 온수성 어류양식의 최적지로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적 특징으로 인해 이곳에는 현재 30여개 육상넙치양식장이 들어서 넙치를 생산해 내고 있다.

 육상양식장 배출수가 모아져 나오는 곳에는 '소수력 발전소'가 설치돼 있다. 육상양식장에서 24시간 바다로 흘려보내는 배출수로 수력발전소를 가동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육상에는 풍력 발전기들이 돌아간다. 지난 1998년 국내 처음으로 행원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된 이후 현재까지 시설 용량 216㎿의 발전기들이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 앞으로 381㎿규모의 풍력발전기가 추가 건설될 예정이다.

 행원리는 현재 제주도의 관심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메카로 발돋움 했다. 하지만 이곳의 육상양식단지 인근 바다속은 황폐화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6일 수중탐사 결과 육상양식장에서 배출수와 함께 나오는 사료 찌꺼기와 배설물이 15년 동안 바다에 쌓이면서 배출수가 흘러드는 인근 바다는 유용해양생물이 살 수 없는 공간으로 변해 있었다. 바위에는 해변말미잘류가 부착해 마치 흰색곰팡이가 핀 것 처럼 보였고 흰모래 바닥도 검게 변해 있었다. 검은 모래속에는 폐사한 고동 등 해양생물들이 가득했다.

 이곳 양식장들이 침전여과시설 등을 갖추고 배출수를 바다로 흘러보내고 있으나 해양생태계는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제주대 모 교수는 "넙치육상양식의 배출수 방류기준을 정했지만 배출수가 바닷물과 혼합되면 기준치는 아무 소용이 없고 전체 수조면적에 따라 침전시설과 여과시설을 갖추도록 하고 있지만 이 역시 해양생태계를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넙치양식장 배출수에 포함된 생사료 찌꺼기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배합사료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양식업자들이 배합사료를 먹인 경우 비만도 등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사용을 기피하면서 제주바다 생태계는 갈수록 병들어 가고 있다. 배합사료 사업은 냉동된 생선을 갈아주는 생사료(MP) 사용으로 인한 연안 환경 오염 방지와 어족자원 남획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6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