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국가 기념일인 4·3희생자 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들만 쉬는 날로 인식되고 있다. 자라나는 아이들의 참여 확대를 통해 4·3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하는 후속 조치가 미흡하다.
'제주특별자치도 4·3희생자 추념일 지방공휴일 지정 조례'는 2018년 제정됐다. 도지사는 4·3희생자 추념일에 '제주 공동체가 4·3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4·3희생자를 추념하는 데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례에 명시됐다. 이에 제주도는 4·3 추념일에 맞춰 산하 지방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에 지방공휴일 시행을, 학교 등에 동참을 권고했다. 그뿐이다. 지자체 공무원을 제외하면 추념식장을 방문하거나 추념행사를 갖는 사례는 드물다. 학생들의 참여는 더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유족과 추념식 관계 공무원들만 의미를 부여하는 날에 머물고 있다. 지방공휴일의 실효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2021년 조례 개정을 통해 이듬해부터 4·3 지방공휴일을 달력에 표기할 수 있도록 했던 제주도의회는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가슴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도록 미래 세대에 역사적 교훈과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4월 3일 지방공휴일이 확대 시행돼야 가능한 얘기다. 초·중학교 때부터 제주 4·3을 제대로 기억할 수 있도록 도정과 교육당국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제주자치도와 교육청 간 교육행정 현안을 논의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협의기구인 교육행정협의회가 할 역할이기도 하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