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경제의 한 축인 건설업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했다.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미분양 주택 증가로 투자금 회수가 지연되면서 폐업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폐업은 곧 고용감소로 이어져 지역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지난해 도내 종합건설업 23곳과 전문건설업 63곳이 폐업했다. 올 들어 3월 말까지는 종합건설업 10곳이 폐업했다. 건설 수주액도 대폭 감소했다. 2022년 2조2766억원에서 2024년 1조2939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건설경기 불황은 고용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월 건설업 취업자는 2만3000명이다. 지난해 같은 달 3만2000에 비해 27.5% 급감했다. 지난해 7월까지 3만명대를 유지하던 취업자는 2만명대에 머물고 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023년 7월부터 21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 부진으로 인해 일용근로자도 크게 줄었다. 지난달 일용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7000명 감소한 1만3000명이다. 역대 최저 수준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건설경기 업황이 밝지 않다는 데 있다. 건설업계 전반에 줄도산이 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위기의식을 느낀 제주도 당국은 부랴부랴 건설업 활성화 계획을 내놓았다. 하도급 대금 지급 보증서 발급비용을 제주도가 부담하기로 했다. 대출이 어려운 중소 건설업에는 신용보증을 해주기로 했다. 특히 올해 건설업 분야 예산의 60.5%를 상반기에 집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 건설업계의 애로사항을 직접 수렴하여 건설업을 부양할 수 있는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