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2] 2부 한라산-(18)신라 향가에 나오는 오름

향가 혜성가에 나오는 악음(岳音)제주어 '오름'과 같은 말 [한라일보] 그럼 오름은 무슨 뜻일까? '오르다'의 명사형일까? 신라 향가에 혜성가가 있다. 향찰식 이두로 '구리동시정질(舊理東尸汀叱) 건달파의유오은성질힐양망양고…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1] 2부 한라산-(17)그 뜻을 알 수 없는 ‘물장오리오름’ 이름

‘오름’이 무슨 말일까? [한라일보] 백록담의 '록(鹿)'은 '노르'를 동물 노루로 알고 한자를 빌려 쓴 훈독자다. 요즘 표현대로라면 '록(鹿)'이라 쓰고 '노르'라 읽으라는 뜻이다. 지명에서 어느 한 곳에만 유별나게 쓰는 말은 별…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0] 2부 한라산-(16)백록담은 ‘노르’ 중 최동단

심상찮은 몽골의 호수 이름아시아 전역에 ‘노르’ 몽골엔 호수가 참 많다. 그런데 그 이름은 모두 '노르'로 끝난다. 우리말 호(湖)에 해당한다. 몽골에서 가장 큰 호수는 웁스노르(몽골어: Увс нуур, 로마자: Uws nuur)다. 우리…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9] 2부 한라산-(15)백록담은 호수라는 뜻

[한라일보] 백록담은 흰 사슴이 물을 마시며 놀았던 곳이라거나 신선이 백록주를 마시며 놀던 곳이라는 식의 풀이에 강하게 세뇌된 상태라면 이 말이 '호수+호수+호수'로 이뤄졌다는 설명을 수긍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살아…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8] 2부 한라산-(14)백록담이 무슨 뜻?

흰사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백록담'의 '백'도 바로 여기에서 기원한다. '백록담'을 고대인들은 이같이 '바쿠(faku)'로 불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어떤 고유명사가 아니라 그냥 '호수'를 지칭하기 위해 이렇게 불렀다고 할 수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7] 2부 한라산-(13)백두산 이름은 어디서 왔나

[한라일보] 박달이라는 말은 한자로 백산(白山)이라고도 썼다. 여기서 '백'은 호수라는 뜻이라는 건 지난 회에 상세히 설명한 바대로다. 여기서 '달'은 고구려어로 산(山)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산을 고구려어로 달이라 했다는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6] 2부 한라산-(12)백두산 이름은 어디서 왔나

백(白)은 박(泊)과 같은 말박과 포는 모두 만주어로크고 역동적인 호수‘박’과 ‘포’는 호수라는뜻으로 만주에서 널리 쓰여 중국의 자료들을 보니 백두산 천지를 달문(門), 달문(達文), 도문(圖們), 타문(他們), 도문(圖文), 타…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5] 2부 한라산-(11)백두산 이름은 어디서 왔나

[한라일보] 한라산의 별칭 두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백두산을 더듬어 보고 있다. 그런데 그런 중에 백두산 천지의 명칭에서 두무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단서들이 나오고 있다. 여기서 잠깐! 백록담을 연상하면서 궁금해하실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4] 2부 한라산-(10)백두산 이름은 어디서 왔나

백두산이 무슨 뜻일까? [한라일보] 백두산이란 말은 '머리가 흰 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게 그리 간단치가 않다. 백두산이란 지명은 알고 보면 머리가 하얗다는 뜻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 2부 한라산-(9)두무악은 무슨 뜻인가?

두무는 '둥글다'라는 뜻일까? 여기서 또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문제가 있다. 한라산과 두무악이라는 이 두 이름을 별개로 썼다고도 할 수 있지만, 조합으로 썼다고도 추정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왜 이렇게 16세기 초…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 2부 한라산-(8)두무악은 무슨 뜻인가?

'솥처럼 생긴 산'이라는 주장 [한라일보] 1519년 김정 선생께서 쓰신 제주풍토록에 우리의 언어습관과는 동떨어지게 두무악이라 했다는 점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20세기 초까지도 일관되게 이렇게 써 왔는데도 이런 조어 형태…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1] 2부 한라산-(7)‘두무악’의 의미를 찾아서

20세기 초까지 살아남았던 ‘두무악’ 18세기의 학자 이규경이 쓴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라는 책에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한라산은 제주 남쪽 20리에 있다. 주의 진산으로 운한을 잡아당길 수 있다 하여 한라산이라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0] 2부 한라산-(6)헷갈리는 한라산 명칭사

[한라일보] '한라라고 하는 것은 운한을 잡아당길 만큼 높다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여기서 말하는 운한이란 은하수를 지칭한다. 이런 내용은 ‘동국여지승람’에 최초로 기록한 이래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의심의 여지 없이…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9] 2부 한라산-(5)삼신산, 3신산인가 3신의 산인가

동국세기, 한라산은 영주산 기록 옛사람들이 삼신산이 모두 우리나라에 있다고 해왔을 뿐만 아니라,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이 곧 그것이라고 지목해 온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동국세기'라는 책에는 금강산은 봉래산, 지리산…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8] 2부 한라산-(4)영주산은 무슨 말인가

장생불사 강조한 도교사상 유행 영주산이 무슨 뜻일까. 간혹 한라산을 영주산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내용의 핵심은 한라산은 예로부터 삼신산의 하나로 신령한 산이라는 것이다. 삼신산이란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이며,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