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인 삶과 죽음 가르는 '영혼의 울타리'

제주인 삶과 죽음 가르는 '영혼의 울타리'
김유정 제주문화연구소장의 '제주 산담'
  • 입력 : 2016. 01.22(금) 00:00
  • 이현숙 기자 hs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는 돌의 고장이다. 화산섬이기에 어디를 가든 흔한 것이 돌이다.

돌과 더불어 살아온 제주인들은 돌을 문화로 승화시켜 자연과 공존하는 지혜를 터득했다.

오름과 중산간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것이 '산담'이지만 그것의 문화·역사적 가치를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제주 돌문화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김유정 제주문화연구소장은 '제주 산담'에서 20년동안 제주 전지역을 돌며 답사한 산담의 가치를 조명하고 있다. 그는 '삶과 죽음으로 구분되는 돌문화'라는 자신만의 학문적 신념을 바탕으로, 제주 전역에 퍼져있는 무덤들을 살펴봤다.

이 책에서는 '산담은 세계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영혼의 울타리'로 규정한다. 산담은 산 사람들의 생활속 돌문화와는 달리 죽은 자들을 위한 의례의 돌문화로 제주인들의 생사관을 엿볼 수 있는 유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제주의 산담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는데도 손을 놓고 바라봐야 하는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도 담겨있다. 잉카, 인도, 중국 등 세계 각 나라들은 죽음과 관계있는 유적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중요한 유산의 반열에 올려놓는데 비해 우리는 관심이 없는게 현실이다.

산담이 죽음의 유적이라고 해서 죽음만을 보게 되면 안되고 지난 600여년의 역사적으로 보면 정신문화적 가치와 자원활용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다.

이책은 ▷무덤의 기념비성 ▷한국의 장묘제도와 의례공간으로서의 무덤 ▷제주장법의 역사적 전개 ▷제주무덤의 유형 ▷제주의 산담 ▷산담의 석물 ▷제주의 장묘문화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산담 등으로 구성됐다.

지난 2006년 '제주의 무덤'이라는 책을 제주대 손명철교수와 함께 냈던 저자는 "지금도 시끄러운 세상의 복판보다는 한적한 무덤가가 좋다"고 말한다.

산담에 앉아 세속을 바라보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다. '산담' 문화를 대지 예술과 접목해 설명한 것도 관심을 끈다. 산담의 역사부터 공간 개념, 유형, 산담을 쌓는 방법 및 구조, 산담의 미학 등도 담겼다.

'제주 산담'은 무덤보다는 폭이 넓다. 제주의 무덤 또한 기념비성이 있지만 그것의 완성은 산담으로 귀결된다. 산담은 효도, 가문, 산업적 연관의 산물이다. 산담을 기념비성과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로 접근한 것은 남다르다.

저자는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산담에 대해 안타까움도 전했다. 그는 "산담은 인류문화유산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건설, 골프장 조성, 관광단지 개발 등으로 초지와 밭들이 사라지면서 그 안에 있던 산담 역시 땅에 매몰되거나 복개지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산담'을 '돌'로만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것의 기념비성과 역사성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600년의 전통이자 세계최대 지상의 피라미드가 서서히 취급되며 죽어가고 있다"고 끝을 맺었다.

이 책을 발간한 강명언 서귀포문화원장은 "돌문화의 백미를 산담이라고 본다. 동자석, 문인석도 산담에 예속된 것으로 산담이야말로 제주문화의 실체의 중심에 있다"고 강조했다. 비매품. 문의 733-3789.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07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