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장수의 섬' 제주, 고령친화도시로](3)각계 반응… 산적한 과제들

[연속기획/'장수의 섬' 제주, 고령친화도시로](3)각계 반응… 산적한 과제들
"고령친화도시 만들기, 앞으로가 중요"
  • 입력 : 2017. 08.07(월)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3월초 제주학생문화원에서 열린 노후 소득창출과 지역사회 재능나눔사업에 기여할 '2017 제주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발대식'에서 참여 어르신들이 선서를 하고 있다. 강경민기자

국제네트워크 가입 기점으로 실행과제 이행 등 후속 조치
정책 효율성 민관 협력 필요

제주도가 WHO(세계보건기구)의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회원도시에 이름을 올린 것은 또 다른 시작을 의미한다.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를 마주한 시점에서 노인 문제에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갖추게 됐지만 이는 동시에 많은 과제를 던져준다.

제주가 고령친화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선 지역에 맞는 실행 과제를 이행하는 등 후속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령친화도시의 지향점이 노인은 물론 누구나 살기 좋은 환경이라는 점에서 도민 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도 과제다.

김영보 제주도의회 의원(보건복지안전위원회)은 "WHO가 정한 8개 기준 영역인 교통, 주택, 일자리 등에 관심을 가지고 세부 과제를 강력히 추진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반갑다"며 "이미 네트워크에 가입된 37개국, 500여개 도시와 정책과 경험을 공유하며 고령사회를 활기차게 맞이하는 데 지혜를 모으게 돼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고령친화도시 가입 증명서가 곧 노인이 살기 좋은 도시의 징표는 아니다"면서 "고령친화도시 조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제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얼마나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자리매김해 나아가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첫발을 뗀 만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박재천 서귀포시니어클럽 관장도 "이제부터는 고령친화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그 속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행정과 민간이 함께 협력하며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를 고령친화도시로 조성하기 위해선 도민 사회의 협력이 전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관일 대한노인회 제주연합회 사무처장은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한 외국 도시와의 교류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시책을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를 발전시키려면 도내 행정과 관련기관·단체, 언론 등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장에 큰 프로젝트보다는 노인들의 생활과 밀접히 관계가 있는 것부터 보완해 나가는 것이 출발점이 돼야 한다"며 "예를 들어 경로당에 작은 도서관 등을 만들어 여러 세대가 함께 어울리며 노인들이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시책 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고승한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장은 "제주도가 40개 실행 과제를 추진하기 위해선 고령친화도시 조성 사업이 노인 뿐만 아니라 도민 누구나 살기 좋고 편안한 주거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인식을 도민사회에 확산하는 일이 중요하다"며 "제주도 내에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행정 조직을 두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친화도시 조성 사업의 정책적 효율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가칭 고령친화도시추진협의회를 구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시영 선임기자·김지은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노인욕구조사·치매안심병원 시급

실행계획 40개 과제 1300억…과감한 예산투자·의지 필요
예비 노년층 노후준비 조례…조직 재편·연구인력 확대를

'장수의 섬' 제주가 명실상부한 고령친화도시로 가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멀고 해야할 일도 많다.

▶실행계획 구체화돼야=제주도가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내놓은 실행계획은 모두 40개다. 이 과제들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모두 1374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노인복지를 위한 과감한 예산투자가 이뤄지지 않는 한 고령친화도시 실행계획은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다. 도정 정책 결정권자의 의지가 중요한 이유다.

이와 연계해 도지사 자문기구인 노인복지정책위원회의 활성화, 부서간 정책실무협의회와 민간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인 고령친화도시추진협의회의 가동, 어르신정책모니터링단의 성공적 운영도 과제다.

▶노인욕구조사·치매안심병원=제주도는 현재 '노인복지 및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연구를 진행중이다. 내년부터 5년간의 고령사회 기본계획이다. 하지만 제주도는 아직 노인 종합실태조사를 한 적이 없다. 이 조사는 노인복지의 기초자료로써 일정 주기별로 조사를 진행해 고령사회 및 다양한 노인문제(생활, 복지, 노동, 문화, 인권 등) 현안을 대처하는데 지침서로써 매우 중요하다.

문재인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중인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치매안심병원 유치도 시급하다. 오는 2020년부터 노년층에 진입하는 베이비부머세대(1955~1963년 출생) 등 예비노년층을 위한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

▶조직 재편·연구인력 확대는?=베이비부머 등 예비노년층과 노인복지 문제를 전담할 제주도청내 조직 재편과 더불어 제주연구원의 고령사회연구센터 활성화도 과제다. 고령사회연구센터 활성화는 고령친화도시에 대한 지속적 연구조사와 국내외 고령친화도시와의 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서도 절실하다.

강시영 선임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75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