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도 습지, 강력한 보전대책 왜 미적대나

[사설] 제주도 습지, 강력한 보전대책 왜 미적대나
  • 입력 : 2021. 02.04(목) 00:00
  • 편집부 기자 hl@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세계 습지의 날(2일)을 맞아 제주도 습지 보전대책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도내 람사르 지정 습지나 한라산국립공원 내 오름 습지 등을 빼고 많은 습지 보호장치가 전무한 현실이 그 이유다. 제주가 어느 지역보다 많고 다양한 형태에다 생태의 보고를 자랑하는 습지를 지금처럼 사라지도록 내버려둬선 안된다.

습지는 물을 담는 그릇이자 모든 생명의 근간이 된다. 인류와 자연이 함께 유지될 수 있도록 오염정화, 생물서식공간, 자연재해 조절 등 여러 역할을 하기에 보전정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습지보전정책은 날이 갈수록 강화돼 가는 추세다. 국내서도 작년말 ‘습지보전법’ 개정을 통해 습지 정의에 호수 늪 못 하구에다 하천을 추가해 상당히 많은 하천습지 보전기반을 마련했다. 환경부는 습지의 탄소저장기능을 통한 보전가치 재조명, 생물 다양성 감소와 재해 등의 문제를 습지에 의한 해결책 모색 등에 나서기로 했다.

제주도의 습지보전정책은 어떤가.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일 성명을 통해 “람사르습지나 한라산국립공원 내 습지를 제외하곤 보호장치를 전혀 갖추지 못한 게 현실”이라고 성토했다. 동백동산 등 람사르습지 5곳 외에 도지사에 의해 지정된 습지보호지역이 한 곳도 없음을 꼽았다. 2017년 제주도 습지보전조례를 제정했지만 미흡한 ‘집행’으로 인해 하천습지나 해안사구 등이 각종 정비공사로 사라지는 현실을 맞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도는 다양한 생태적 기능에다 청정제주의 ‘허파’역할을 할 습지의 중요성을 재인식, 강력한 보전대책에 나서야 한다. 하천·연안·내륙 습지별 체계적 관리정책 수립이 선행되면, 지역사회 전반에 습지 보전에 대한 관심과 실천도 퍼져 나갈 수 있다. “습지를 지키면 제주도 지킬 수 있다”는 인식을 새롭게 할 때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20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