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정상 "미래세대 교류 확대" 공동선언

한·일·중 정상 "미래세대 교류 확대" 공동선언
3국 정상 27일 서울서 4년 5개월만에 3국 정상회의
2030년까지 연간 인적교류 4000만명 달성
  • 입력 : 2024. 05.27(월) 19:53  수정 : 2024. 05. 28(화) 21:09
  • 서울=부미현 기자 bu8385@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 모습. 대통령실 제공.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 모습. 대통령실 제공.

[한라일보] 한·일·중 3국 정상이 4년 5개월만의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2030년까지 문화, 관광, 교육 등의 분야에서 3국간 인적 교류를 4000만 명까지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9차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3국 정상은 3국 협력의 원동력이 국민들의 지지에 있다는데 공감하고, 3국의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협력을 확대하는데 합의했다.

이와 관련 2030년까지 연간 인적 교류 4천만 명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특히 미래세대 간 교류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2025년과 2026년을 '한일중 문화 교류의 해'로 지정해 인적·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3국은 협력체제를 보다 굳건히 하기 위해 3국 정상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3국 협력의 제도화를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교육·문화·관광·스포츠·통상·보건·농업 등 분야에서 고위급·장관급 회의와 같은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3국 간 실질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3국 정상은 3국 협력이 국민들의 민생에 보탬이 되어야 하며, 국민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데에도 의견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한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나아가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 공중보건 위기, 초국경범죄에도 협력하면서 함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한일중 3국은 역내 여타 국가들과의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다. 몽골과는 황사 저감 협력을, 아세안 국가들과는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스타트업 육성, 지식재산 협력을 통해 역내 공동 번영을 모색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뒤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오늘을 기점으로 3국 정상회의는 정상화되었고,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한 한일중 협력 체제가 앞으로 더욱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서울에서 열렸다.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는 지난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제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34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