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농축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제주형 과제는

[진단]농축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제주형 과제는
직거래 확대·해상물류비 지원 초점
  • 입력 : 2013. 03.19(화)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최근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에서 농민들이 배추를 수확하는 모습.

유통단계 줄여 생산자-소비자 ‘윈윈’ 상생구조
제주 청정 농축수산물 대도시 직판장 시설 확대
철도운송 연계 정부 해상물류비 지원 요청키로

새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추진중인 농축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주요 골자는 크게 두가지다. 하나는 기존 도매시장 중심에서 농협 등 생산자 단체 중심의 유통계열화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직거래 확산을 통해 유통단계를 줄여 생산자는 더 받고 소비자는 덜 내는 상생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제주는 도서지역 특성상 1차산업 유통구조 개선이 가장 절실한 지역으로 꼽힌다. 제주로서는 이번이 절호의 기회인 셈이다. 특히 유통비용 중에서도 해상물류비 부담이 커 지원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제주자치도가 현재 검토중인 1차산업 유통구조 개선 과제는 5~6개 사업이다. 하지만 하나같이 정부의 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사업들이어서 이 과제들을 정부 정책화시키는게 관건이다.

▶친환경농산물 전문유통 로컬푸드 타운 건설=제주시 지역 1만1000여㎡ 부지에 친환경농산물(축산, 가공품 포함) 판매장과 저온저장고, 전문 음식점 시설을 갖추는 사업이다. 농협을 사업 주체로 판매장과 저장고 시설에 5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 사업은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소비 확대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생산자단체 등 민간 주도의 유통구조 개선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기 방안으로 검토중이다.

▶제주농특산물 대도시 직판장 시설=내년부터 3년간 국비와 지방비 등 160억원을 들여 대도시 소비지에 제주산 농축수산물 직판장을 시설하는 사업이다. 현재 운연중인 서울시 소유의 서초직판장 부지(991.5㎡)를 매입해 지하 2층, 지상3층 규모의 직매장을 시설, 농협이나 생산자 단체에 위탁운영하는 방안이다. 청정 제주산 농수축산물을 식재료로 이용을 늘리는 한편 도-농 교류를 확대하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생산자와 소비자간에 직접 축산물을 거래하기 위한 직거래 장터를 상설 운영하고 사이버 장터 개설을 위한 사업이다. 대도시에 제주 축산물 유통센터를 확대 개설하기 위한 것이다. 위생적이고 고품질 축산물 생산을 위한 선진국형 공판장 도축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 사업에는 대략 5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해 제주자치도의 재정만으론 추진이 불가능하다.

▶제주농산물 철도운송 연계 물류비 지원=제주 농산물의 철도운송과 연계해 해상 물류비를 지원함으로서 물류비 추가 부담에 따른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생산기반과 함께 유통물류비를 절감하려는 취지다. 판매가 대비 물류비는 육지부 작물은 9% 수준인데 비해 제주산 작물은 12%나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 농산물의 해상 운송비는 연간 수백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적 운송수단인 철도수송으로 농산물 출하시 해상물류비의 30%를 국비로 지원하고 나머지 30%는 지방비, 40%는 자부담으로 극복하는 방안이다. 이 사업이 채택될 경우 특히 전국 출하비중이 높은 월동채소 가격안정에 큰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토의 균형개발을 위한 고속도로 건설과 같은 대안으로 제주감귤의 해상화물 운송비 지원을 정부정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72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