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과 공존 제주 환경이 미래다 ⑭]6. 해수면 상승의 위협과 미래(하)

[청정과 공존 제주 환경이 미래다 ⑭]6. 해수면 상승의 위협과 미래(하)
철저한 대비·선제적 대응 ‘유비무환’
  • 입력 : 2016. 06.02(목)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태풍 내습당시 파도가 해안도로로 밀려들면서 도로위에 크고 작은 돌들이 널부러져 있다. 사진=한라일보 DB

연안 산업기반 붕괴·주거안정도 위협
어항거점시설 침수피해 보강사업 시급
해양 인공 구조물 증·개축 등 신중해야
해양과기원, 최우선 현안과제로 제시


제주해역의 해수면 상승과 이에따른 직간접적인 피해가 늘면서 당국은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먼 훗날의 얘기이거나 남의 일이 아니라 이 시대, 우리의 현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선 유실과 침수피해 뿐만 아니라 해수범람에 따른 연안 산업기반 시설 붕괴와 나아가 주거의 안정성까지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물양장 침수와 방파제 월파로 인해 어선 안전 정박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어업인의 어항이용에 많은 불편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제주도 수산당국은 해수면 상승과 태풍의 강도가 세지면서 어항과 어항거점시설의 침수 피해가 자주 발생하자 어항침수 방지를 위한 국비 지원을 해수부와 국회에 요청했다. 우선 도내 18개 지방어항 가운데 침수피해가 확인된 10대 항을 대상으로 오는 2019년까지 국비 40억원과 도비 14억원을 투입해 보강사업을 벌일 방침이다. 행정시가 관리중인 46개 어촌정주어항에 대해서는 올해말까지 개발계획 변경 실시설계용약 결과에 따라 정비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산하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이하 해양과기원 제주지원센터)는 제주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과제로 13개 현안을 선정하면서 이 가운데 '해수면 상승과 이에 대비한 연안시설 정비대책 수립 연구'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과 함께 인공 구조물의 증·개축에 따른 파랑(波浪) 변형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게 된다. 해수면 상승이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는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 해안의 파랑 현상도 파악한다.

해양과기원 제주센터는 이 연구를 통해 연안개발에 대한 위험 평가,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선정 규정, 그리고 이미 개발됐거나 계획중인 개발에 대한 해수면 상승 저감방안, 해안가 보호 설계 등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제시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태풍의 강도 증가에 따른 인명피해 사전예방과 해양수산시설 피해 최소화를 위해 종합재난대응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항만, 증·양식시설, 선박 등 해양수산시설이 여름철 강풍·해일 등 태풍으로 인해 연평균 642억 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저한 대비와 선제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제주대 이동욱 교수는 "미국도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제방을 높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해군기지 이전비용 문제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는 해수면 상승과 연안 주요 시설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자체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연구를 강화하고 데이터 축적·논의하는 것부터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시영 선임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83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