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지속 가능한 제주문화'란 말을 접하고는 불현 듯 삼다삼무가 떠올랐다. 제주선인들은 도처에 묻혀 있는 질긴 돌 캐내고 다듬으며 돌과 함께 하는 독특한 문화를 꽃 피웠기 때문일 것이다. 돌 구들에서 태어난 선인들은 돌로 지은 집에 살다, 돌담으로 둘러싸인 밭에서 일하다, 돌로 둘러싸인 산담 안 무덤에 묻혔다. 제주의 문화와 역사가 고스란히 쌓여있는 돌담은 이제 제주를 상징하는 보석이 되고 있다. 거기에 더해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읍성과 진성을 복원한다면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돌문화의 진수를 제주는 자랑하게 될 텐데.
태풍의 길목에 자리 잡은 석다(石多)의 섬 제주는 또한 풍다(風多)의 섬이다. 제주는 다양하고 독특한 이름의 바람이 많다. 하늬바람, 높하늬바람, 높새바람, 샛바람, 마파람, 동마파람, 갈바람, 섯바람, 섯하늬바람, 양두새바람, 양바람…. 제주섬 도처를 휘감아 부는 온갖 바람과 맞서고, 비끼고, 달래고, 이용해가며 선인들은 독특한 바람의 문화를 이루어왔다. 이제 제주바람은 모아지고 가둬져 에너지로 태어나는 새로운 시대를 맞고 있다. 거기에 더해 제주에는 새롭고 큼직한 문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니 특별한 자치도라는 바람이, 세계평화의 섬이라는 바람이….
여다(女多)의 섬은 출륙 금지령(1629~1823) 전후 제주의 남정네들이 보재기나 포작인이 돼 제주섬을 탈출하거나 바다에서 조난당한 데서 유래한다. 제주여인네는 집안일뿐만 아니라 밭일과 바다의 일 등 온갖 일들을 헤쳐 나갔던 강인한 여성의 또 다른 이름이다. 여필종부의 과거에서 벗어나 양성평등의 시대에 들어선 이제는, 삼다에서 여다(女多)는 해방돼야 한다. 지금은 남성의 수가 여성보다 많기도 하다. 돌과 바람이 영구적인 자연재화이듯 오름 역시 제주의 자연재화이다. 그러기에 필자는 여자 대신에 오름을, 돌 그리고 바람과 함께 신삼다(新三多)로 칭해본다.
신삼다는 제주의 새로운 문화이다.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된 흑룡만리 제주밭담이 세계 속에 'only JEJU'를 알리고 있다. 수많은 풍차들을 돌리는 바람은 제주의 부를 창출하고 있다. 청정 제주의 오름들은 수많은 도민들과 여행객들에게 느림의 미학을 실현하라는 듯 건강한 여가를 선물하고 있다. 잊혀진 삼무 정신 등 과거의 문화의 밭을 미래 지향의 문화의 밭으로 경작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자 과제다. 그러기에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라는 백범의 명구가 회자되는 가 보다.
지속 가능한 제주의 문화를 다시 그려본다. 문화는 우리의 삶 그 어디에나 스며져 있다. 대대손손 후손들에게도 전해질 향기로운 삶의 내음이 곧 우리 문화의 향기이리라. <문영택 사단법인 질토래비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