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에너지전환의 시대 제주에너지공사의 역할을 논의하는 토론회와 중단기 사업설명회가 열렸다. 풍력발전에 연관이 있는 한동, 평대, 신창, 행원 등의 마을 이장단과 행정, 기관, 대학과 기업의 대표들이 빼곡히 참석하였다. 그동안 도내 출자기관 및 공기업의 수장이 취임하며 도민을 상대로 대대적인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것도 보기 드문 일이지만 기관의 역할과 로드맵을 신임사장이 직접 설명하고 그 자리에서 참석자와 문답을 주고받는 양방향 소통에 모처럼 신선한 감동이 느껴졌다.
주제 발표에 나선 박원철 전 도의원은 설립 10주년의 성과로 행원풍력단지의 노후발전기 리파워링과 동복.북촌 풍력단지조성 준공, 대규모의 발전사업 참여를 위한 1306억원의 자본금 확대 등을 꼽았다. 그러나 지역에너지자원의 공적관리 및 개발이 공사의 주요 역할임을 주지하며 2015년 공공주도 풍력 개발 투자활성화 계획에 따라 지정된 '풍력 사업 시행예정자'로서 실제 발전기 설치 및 가동의 성공사례를 이루지 못하고 있음에 아쉬움을 표했다.
또한 에너지공사는 일종의 공공업무 대행 성격을 띠는 공단과 달리 스스로 경영전략 기획이 가능한 조직이므로 경영 성과 창출을 위한 수익사업 발굴이 매우 중요하며, 설립 초기에는 자치단체 출자로 자산을 형성했을지라도 목적 사상을 통해 스스로 필요비용을 조달하고 사업에도 투자해야 하며 결산수익 발생시 자치단체에 배당해 지자체의 재정안정화에 기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필자는 토론회가 제기한 에너지공사의 역할과 남겨진 과제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아울러 공사는 현재 풍력사업 시행 주체에서 관리기관으로의 변경이 예고되는 등 핵심 지위가 불안한 상황이지만 수년째 이어지는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해결책 모색에 주도적으로 나서주기를 희망한다. 물론 정부나 유관기관의 논의없이 공사가 독자적으로 풀어갈 문제는 아닐지라도 에너지와 관련된 제주 상황을 세세히 파악하여 산학연관이 고민한다면 허가된 발전설비를 강제로 멈추는 우매함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현재의 전력요금 체계를 정반대로 바꾸면 어떨까. 재생에너지가 많은 낮에는 요금을 싸게, 전기수요가 많은 저녁에는 비싸게 요금을 책정한다면 재생에너지 수요에 긍정적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또한 제주가 운행 중인 3만대의 전기차를 재생에너지 수요 자원으로 활용하고 피크시간대에는 배터리의 전기를 사용 가능하도록 국가과제 및 실증사업에 양방향 충전기술을 적용한다면 출력 제한의 빈도는 줄어들지 않을까.
제주에너지공사의 책무는 막중하다. 탄소중립의 복병 출력 제어를 조속히 해결하고 에너지대전환의 시대 미래신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제주기업과 함께 나가는 것을 최우선 한다는 김호민 사장의 경영철학과 임직원의 실천의지에 뭉클함을 느낀다. 그 마음 변함없이 도민에게 에너지복지를 제주기업에게 기술 축적의 선례를 남기는 국내 최초의 지방 에너지공기업을 기대한다. <허경자 (사)제주국제녹색섬포럼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