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76)애월읍 용흥리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76)애월읍 용흥리
인정의 향기 가득 넘쳐나는 마을공동체
  • 입력 : 2024. 11.15(금) 02:30
  • 임지현 기자 hijh52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용마루동산, 제안이동산으로 맥을 이루어 사방이 소나무들이 우거져 있었던 땅. 원래 고유지명은 송냉이(松浪伊)로 불리우던 곳이다. 1891년에 작성된 말방애접(接) 회의록에 등장하는 마을 이름이 송랑동이다. 지금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송림이 울창하던 마을이었던 모양이다. 서쪽에 와개왓(瓦蓋田)이 있어서 삼별초 입도 당시에 군량미를 보관하던 창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를 근거로 여기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700년 전으로 보고 있음이 타당하다. 용흥리라고 하는 마을 명칭에는 풍수사상이 짙게 깔려있다. 신령스러운 한라산의 기운이 힘찬 용맥을 타고 흘러들어 회룡음수형(回龍飮水形) 명혈대지에 위치한 마을이라고 조상 대대로 믿으며 자긍심을 키워온 마을이다.

강봉우 이장

참으로 포근하고 정감이 있다. 섬 속 마을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다. 얼마전에 제주에 이주한 필자의 지인이 '한반도의 어느 시골마을 느낌이 난다'고 했을 때, 고개를 끄덕였다. 마을 중심부분이 야릇하게 분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그렇기도 하거니와 마을 중심을 남북으로 지나는 길 하며 제주의 다른 마을들과 겹쳐지는 이미지가 적다. 더욱 마을을 안온하게 이끄는 것은 용마루 동산이다. 용이 용바위를 뚫고 용트림 하며 하늘로 올라갔다는 용바위 전설이 있는 곳. 신엄지역에서 남쪽으로 올라와서 하동마을에 들어서면 동쪽으로 맨 먼저 맞아주는 동산이다. 높이는 그다지 높지 않으나 주거지역이 낮아서 우러러 보이는 상황이 연출된다. 용흥리 마을 전체를 품으면서 왼쪽으로는 장구터, 짐벌레, 무남동산, 오른쪽으로 제안이동산, 난그못, 쇠죽이못으로 뻗어 있어서 둥지를 틀어놓은 지세다.

애월읍 중앙에 위치한다. 북쪽 신엄지에서 1953년 분리된 마을. 동쪽으로 장전리, 서쪽으로 상가리와 하가리, 남쪽으로 소길리가 위치한다. 토박이가 주민의 99%라고 하는 경이로운 인적 구성을 가졌다는 것은 그만큼 조상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강력한 결속력을 의미한다. 마을 어르신들이 들려주는 용흥리의 자부심은 감귤과 관련되어진 내용들이 많다. 산북 지역에서 감귤농사로 일찍 전환하여 태생적 근면성을 바탕으로 부농의 꿈을 이뤄낸 삶의 궤적들을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살아있는 마을의 역사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제주시로 고등학교에 진학을 해서 자취방을 얻어주는 것이 아니라, 집을 하나 사버렸었지.' 마을 사람 대부분이 교육문제 때문에 제주시에 집을 하나 정도는 마련했던 시절을 회고한다. 농업경쟁력이 엄청난 힘을 발휘하는 풍요를 이뤄내는 과정은 눈물겨운 도전과정을 극복하고 이뤄낸 성과.

용흥리 감귤 품질에 대하여 왕성한 자부심을 GAP인증마크가 보증한다. 맛으로 승부를 거는 감귤영농. 밭농사에서 감귤로 일찍 전환하여 오랜 기간 축적된 노하우가 이뤄낸 맛이라고 객관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다. 풍토적인 연유도 큰 몫을 담당하고 있음은 무시할 수 없고.

강봉우 이장에게 용흥리가 보유한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인정이 살아 있지요!" 마을 결속력과 단합심으로는 결코 어떤 마을과 견주어 뒤지지 않고 있음을 이 한 마디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했다. 애향심에서 비롯한 마을 경쟁력은 승부근성과 같은 심리가 뿌리내려 있다는 것이다. 그 증거로, 면적이 협소하고 행정리로 분리된 연혁이 짧지만 꾸준하게 마을 공동재산을 만들어왔다는 자부심이다. 다른 마을들이 마을 공동재산이라고 할 수 있는 땅을 파는 경우가 있지만 용흥리는 주민들이 돈을 모아서 마을 땅을 만들어왔다는 것이다. 용흥리운동장을 대표적인 사례로 상동과 하동 주차장, 연못들과 주변 땅들을 사들여서 마을 소유재산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객관적 사실들이 '작지만 강한 마을'이라는 입증근거로 작용하는 것이다. 다양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경쟁력과 마을공동체 역량을 강화하여 오는 과정에서 얻은 자신감은 지극히 미래지향적 마인드로 무장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쉽게 표현하여 '두려울 것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곧 용의 기상이다. <시각예술가>



힐링 농로를 따라
<수채화 79cm×35cm>

도로명칭은 용흥6길이라고 되어져 있다. 그것은 행정적 표기에 불과하고, 농촌마을의 다양성이 화면 가득 자리를 잡고 있다. 늦가을의 햇살을 받은 농로를 따라 펼쳐진 아늑한 눈부심을 그리려 하였다. 그리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주인공은 옛 돌방아를 있는 그대로 집 진입로에 설치미술품처럼 배치하고 있는 상황이 감동을 주기 때문. 파란 지붕을 가진 평범한 집 앞에 현무암 자연석들로 조경을 하여 대문을 대신하는 정서는 참으로 소박한 심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태양광선이 부서지며 어떤 축복이라도 내리는 분위기를 보여주는 얕은 내리막길에서 방풍림의 그림자가 원근감을 보여주고 멀리 밭과 길 사이에 성립된 낮은 경계들이 정겹다. 돌과 나무와 집과 밭이 한 화면 속에서 공간감을 형성하며 짜임새를 이룰 수 있는 경우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화면 속 어떤 존재도 그 위치에 있어야 하는 이유를 가지고 있으니 참으로 존귀하다는 표현을 써야할 판국이다. 하늘색이 저보다 더 파랗게 빛났지만 엷게 그렸다. 그럴 경우에 지붕의 파란색이 하늘과 혼동되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지붕의 파란색에게 하늘을 대신하라고 명령한 것이 온당한 처사라고 생각했기에. 모두가 자기 역할을 가진 물상들이 모여 농촌풍경의 평화로움을 만들어낸다. 그냥 지나치면 느끼지 못하는 것들 속에서 시간을 가지고 잔잔하게 바라보는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마을. 용흥리는 그런 매력으로 가득하다. 아주 느린 걸음을 가지고 걸어가다가 물끄러미 바라보는 힐링이다.

용마루 가는 길
<수채화 79cm×35cm>

마을의 정신적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용마루언덕을 향하여 걸어가는 과정에서 만난 잔잔한 대비효과를 그렸다. 겨울 초입이라서 언덕의 경사면에는 밝은 색 억새들이 펼쳐져 있다. 한 해를 살다 가는 저들 뒤에 능선따라 수십 년을 꾸준하게 살아가는 소나무들이 대비되어 있음을 새삼스럽게 느꼈다. 밭담위에 부서지는 밝은 태양광선의 멜로디 밑에는 중후한 음색을 지닌 음지의 공간감이 지배하고 있다. 돌담이 가진 미적 요인이야 굳이 설명할 필요야 없겠지만 화면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장대저울의 벨런스를 그대로 가져다 놓은 역할이다. 빛의 강도를 아이러니하게도 그림자의 짙은 정도에서 발견하고 표현하게 되는 이치는 회화적 감수성 이상의 정한을 느끼게 한다. 이미 억새가 등장한 상황이지만 돌담에 붙어있는 다년생 넝쿨식물과 나무들은 초록을 겨울에게 빼앗길 어떤 의사도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결사 항전의 의지는 보여주는 듯. 용흥리의 포근한 분위기를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소요 시간적 선택을 여기에서 하게 된 것이다. 용마루가 보유하고 있는 승천의 전설을 만나러 가는 상황에서 빨려들 것 같기도 하고 마중 나올 것 같기도 한 야릇한 기분을 그리려 몸부림쳤다. 굽이돌아 사라지는 길 속에서 만나는 어떤 여운은 하늘로 승천하여 보이지 않는 용의 이야기를 다시 들으러 가는 길로 여기자.

저 언덕에 오르면 한라산이 웅장하게 보인다. 그것은 지금 한라산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더 높은 곳을 향하라는 예시이기에 그렇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9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