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종합사업관리 제도 도입

제주 제2공항 종합사업관리 제도 도입
국토부 연구 용역진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정
  • 입력 : 2024. 01.02(화) 09:07  수정 : 2024. 01. 02(화) 09:08
  • 김채현 기자 hakc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에 따른 지역 내 갈등 관리를 위한 '종합사업관리' 제도가 도입됐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제주 제2공항 종합사업관리 연구 용역진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선정했다.

용역비는 5000만원이며, 용역진은 착수일로부터 7개월 동안 국내·외 종합사업관리 도입 및 적용 사례를 조사하고, 제2공항 건설사업 종합사업관리 적용 필요성 등을 검토한다.

앞서 국토부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업과 관련한 지역 내 갈등이 첨예해 지속적인 갈등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 이슈가 제기됐고, 설계·공사 과정에서 제기된 이슈를 반영해 친환경 공항 건설이 이뤄지도록 세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용역을 추진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3 개)
이         름 이   메   일
268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주민투표하라 2024.01.17 (21:56:41)삭제
제주노선 30% 더 줄려라 2공항 고시 불발이다.. 원히룡 퇴출..기재부 협의 안되고.끝났다 ㅡ재경부 60조 세금 덜 걷혔다.. 국가가 망하는디,,2공항 사업비 7조 주냐?? ㅡ제주노선 항공좌석 2,500,000좌석이 줄었으나,,항공권 예약은 평균 85%로 좌석이 남아돌고,넘친다. ㅡ 2공항 고시.희망을 버립시다 ㅡ TK 신공항,,,,부산 가덕도 신공항에 우선 예산해야.정상 국가다
성산 2024.01.04 (18:14:26)삭제
2공항 고시하면,,,,,,,,,,,제주특별법으로 ,,.2공항을 취소가능하다 국토부.공항시설법(전략환경영향평가)이 종료됨 앞으론 도청이 주체가 되어 환경평가가 더욱 강화된 제주특별법(환경 영향평가)이 진행한다 ㅡ환경영향평가는 '제주특별법' 제364조 제1항에 따라 제주도가 환경부의 의견수렴과 도의회의 동의를 거쳐 협의 여부를 최종 판단 ●도청이 주체가 되어 "동의,부동의,반려" 에서 선택결정 하게 된다..도 의회도 동의절차 역시 강제적.의무사항이다. 도민의견 반영한 "부동의" 선택결정 ●공항시설법보다 특별법이 우선 원칙에 따라 2공항은 취소가능하다
도민 2024.01.03 (10:06:57)삭제
제주공항은 항공안전사고 사례는 전혀없다. ㅡ기네스 세계기록 등재 신청하라 ※일본 하네다 국제공항은 대형 충돌사고 흔하다 원장관,,오지사,"제주공항 확충 어려워"는 허위유포다 국토부에서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 (ADPi)에 ‘공항 인프라 개선방안 수립’ 용역발주 한바 있다 ㅡ 제주공항 인프라개선 등을 통해 수요 감당할 수 있다. ㅡ국토부는 이를 무시하고 감추고,,제2공항 건설을 짓겠다고 고집중이다 ,,,제주공항 공역확장, ㅡ보조활주로, 600m 추가시설 ㅡ 관제시설완공,1동 보강중.주차장 969면 완공 ㅡ지하차도완공,전용차로시행.공항혼잡도 120%해결 ㅡ정석비행장 수시필요시 사용 ㅡ전시엔 알뜨르 비행장사용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