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PEC 정상회의 "개최지 발표만 남았다"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지 발표만 남았다"
제주·인천·경주 등 3개 도시 모두 "유치 자신"
현장실사 등 마무리.. 정치적 고려 막판 변수
  • 입력 : 2024. 06.08(토) 16:52  수정 : 2024. 06. 11(화) 16:01
  • 위영석 기자 yswi1968@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2025APEC 정상회의 유치 범도민 추진위 발족식.

[한라일보] 내년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개최 도시가 이달 중 발표된다.

2025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해 제주를 비롯해 인천시와 경주시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후보군 중 한 곳인 부산은 유치를 포기했고 한국은 지난 2005년 부산에서 APEC정상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제주자치도는 지난 7일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계획 현장발표에서 유네스코 자연과학분야 3관왕 등 자연유산과 해녀, 영등굿 등 무형유산을 두루 갖추고 있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며 개최지로서의 최적 조건과 제주도민의 열망을 담아 호소했다.

외교부는 3개 도시의 현장 실사 결과와 유치계획 현장 발표 등을 바탕으로 이달 중 개최지를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제주 뿐만 아니라 인천, 경주 모두 정상회의 유치를 자신하고 있다.

제주는 독특한 자연유산과 경호, 회의시설 등 인프라, 숙박시설 등에서 우수하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회의 인프라와 인천공항을 보유한 만큼 접근성이 앞선다는 평가다.

경주는 우리나라 고유문화유산 등 가장 한국적인 도시, 경호 등에서 우위를 강조하고 있다.

3개 도시 모두 APEC이 추구하는 '모든 이를 위한 탄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창조' 비전에도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지방분권이나 TK 등 정치적 고려의 작동여부다. 인천시는 수도권이고 제주와 경주는 지방이다. 수도권과 지방의 유치경쟁에서 정부차원의 방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윤석열 정부의 목표가 지방분권이라며 정상회의 개최지는 지방이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함께 지난 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여당 참패, 그리고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 등이 고려될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기도 하다.

정부차원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그리고 어떤 선정 이유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한편 제주는 APEC 유치에 따른 경제 파급효과로 생산유발 1조 783억원, 부가가치유발 4812억원, 취업유발 9288명으로 추산되며, 타 시도 대비 2~4배 이상의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96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