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확산 우려' 키위 점무늬병 "공기 순환 관리 철저하게"

'장마철 확산 우려' 키위 점무늬병 "공기 순환 관리 철저하게"
제주도농업기술원 "고온다습 환경 병 확산 우려"
공기순환·습도관리 중요… 동일 농약 사용 안돼
  • 입력 : 2024. 06.19(수) 13:50  수정 : 2024. 06. 19(수) 16:38
  • 백금탁 기자 haru@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고온다습한 환경 속에 키위 점무늬병 확산이 우려되며 철저한 예찰 및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장마철 잦은 강우와 높은 습도로 키위 점무늬병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병 발생 최소화를 위한 예찰과 방제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9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점무늬병에 감염되면 잎이 떨어져 과실의 생육과 품질이 저하되며, 이듬해 착과량이 감소한다. 특히 골드계통과 레드 계통의 키위 품종에서 피해가 크다. 방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초기 병징 확인 후 약 8~10일 만에 낙엽증상이 발생할 정도로 진행속도가 빠르다.

키위 점무늬병 방제를 위해서는 시설 내 공기 순환과 습도 관리, 병 발생 초기 전용 약제 살포가 중요하다.

고온기에는 시설하우스의 측창과 천창을 열고 환기팬을 가동해 뜨거워진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등 공기 순환을 원활히 하고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약제는 발생 초기에 10일 간격으로 살포하고 동일한 작용기작의 농약을 연달아 사용하면 안된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과거 점무늬병에 등록된 농약은 사이프로디닐 입상수화제 밖에 없어 단일 농약의 연속 사용에 의한 저항성 발생이 우려됐다"며 "하지만 최근 도 농업기술원에서 보호 살균제인 프로피네브 수화제와 직접 살균제인 테부코나졸 유제 등 농약 2종을 추가로 등록해 방제 적기에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살포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88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