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12) 5·16도로~수악도시숲~수악~수악길~신례천변~4·3수악주둔소~신례천 생태숲길~이승이악~목장길~이승이악 탐방휴게소

[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12) 5·16도로~수악도시숲~수악~수악길~신례천변~4·3수악주둔소~신례천 생태숲길~이승이악~목장길~이승이악 탐방휴게소
선선한 솔바람 부는 맑은 날, 마음껏 누빈 시월愛 숲
  • 입력 : 2024. 11.08(금) 03:00
  • 임지현 기자 hijh52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달 19일 진행된 '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12차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4·3수악주둔소를 둘러보며 휴식을 취하고 있다. 내성과 외성 이중으로 거대하게 구축된 4·3수악주둔소는 4·3유적지 중 처음으로 국가지정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오승국 시인

수악과 이승악 정상서 풍광 만끽
신례천 주변엔 다양한 문화유적
고난의 세월 보여준 4·3주둔소도




[한라일보] 재빠르게 사라질 시월이란 말 자체가 우리에게 주는 심연의 사유로 인해 그냥 좋았던 시절이 있었다. 높은 하늘 아래 선선한 솔바람 부는 가을이 점점 짧아지는 것을 느끼며, 우리들의 삶은 그만큼 허걱거리며 연말을 맞이해야 할 것 같다.

시월의 숲은 아직 단풍에 이르지 못한 채 푸르름을 유지하고 있고, 한 해 동안 달고 있던 나뭇잎을 조용히 떨구어 내고 있다. 오름과 곶자왈에 식생하는 대부분의 나무가 활엽낙엽수다. 단풍은 추운 겨울을 버티고 설 낙엽수의 마지막 찬란한 축제다. 11월 단풍을 기대한다.

지난달 19일 진행된 한라일보의 '2024 제주섬 글로벌 에코투어' 12차 행사는 시월의 가을을 노래하며 2곳의 오름과 둘레길, 신례천변, 목장길 등 14㎞를 걸었다. 특히 이날 트레킹은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에서 신례리로 이어지며 신례천과 남원서부 곶자왈을 넓게 품은 수악(물오름)과 이승악(이승이오름) 등 2곳의 오름 정상을 볼 수 있었다. 오름이란 이름보다 악(岳)으로 불리워진 걸 보면 오름의 높이보단 마을까지 이어지는 넓은 대지의 품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한낱 오름이 아닌 거대한 산처럼 느꼈기 때문이리라.

된장풀

산물머위

소혀버섯

5·16도로 둘레길 입구에서 수악을 향해 숲으로 들어섰다. 서어, 졸참, 황칠, 산딸, 때죽, 단풍나무 등 활엽낙엽수가 즐비하고, 70년대 조성된 삼나무 숲이 혼재돼 자연림과 조성림의 아름다운 화음을 보는 듯 했다. 최근 산림청은 수악 도시숲을 조성해 탐방길과 편의시설 등을 마련했다. 도시숲(Urban forest)은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공간 내에서 자라는 숲 또는 공원녹지 등을 이르는 말이다.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는 것도 주요한 기능이다.

가을새의 청량한 소리를 들으며 잘 정비된 도시숲의 탐방로를 걷다보니 벌써 수악오름 정상이다. 북쪽으로는 한라산이 믿음직스럽게 우뚝 서 있고, 남쪽으로는 제지기오름, 지귀도, 섶섬, 칡오름, 영천오름, 문섬, 범섬, 삼매봉, 미악산, 고근산 등 오름과 서귀포 앞바다의 지귀, 섶, 문, 새, 범섬 등 5형제 섬들이 한 눈에 펼쳐졌다. 파노라믹한 극강의 풍광이다.

별나팔꽃

너구리꼬리이끼

검은비닐버섯

다시 한라산 둘레길로 나와 신례천 숲길을 걷다보니 고대의 석성처럼 4·3주둔소가 우리 앞에 나타났다. 4·3수악주둔소는 1950년 초 경찰주둔소로 구축됐다.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해서 쌓았으며, 외성에는 회곽도도 설치했다. 이곳 조성 작업은 인근 신례리와 하례리 주민은 물론 서귀포의 상효동 주민들까지 동원돼 피땀으로 구축됐다. 성을 쌓은 후 주민들은 경찰토벌대의 지휘 하에 토벌을 다녔는데 인근 마을에서 올라와 이곳에 집결하고는 토벌작전에 투입됐다고 한다. 4·3 당시 고난의 세월을 보여준다. 이곳은 4·3유적지 중에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다시 걷는다. 신례마을에서 조성한 신례천 생태숲길은 이승악까지 이어진다. 신례천은 좁은 협곡과 깊은 계곡에 난대상록활엽수가 잘 보존된 하천이다. 특히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모새나무, 참꽃나무 등이 군락을 이뤄 식생하고 있다. 주변에는 울창한 나무로 인해 '해를 볼 수 없다'는 해그문이소(沼), 잣담과 구분담, 숯가마 등 다양한 자연과 문화유적을 만날 수 있다.

4·3 당시 애잔한 눈물의 이야기가 전하는 '화생이궤'가 보인다. 4·3 당시 신례리와 의귀리 주민 20여 명이 피신해 숨어 있었으나, 군인 토벌대에 잡힌 한 어머니의 이야기가 눈물을 머금게 한다. "나를 죽여도 좋으니 이 아이만은 살려 달라. 이 아이를 하효리 외갓집에 맡겨주오." 군인들은 어머니를 그 자리에서 총살하고 아이는 살려주었다.

오래된 팥배나무와 삼나무, 졸참, 서어, 단풍나무가 즐비한 이승이악 동쪽 둘레길에는 일제강점기 진지동굴과 다양한 화산석들이 눈길을 끈다. 동쪽 등정코스로 오르는 이승이악은 험한 바위로 이뤄진 악산의 모습이었다. 수악에서 보는 경관과 또다른 아름다움이었다.

신례리 마을목장의 푸르른 초원과 소 떼들의 평화스런 모습을 뒤로 하고 오늘 걸음의 마지막 종을 울렸다.

다시 만난 친구여, 화생이궤에서 아들을 살리고 억울하게 죽어간 어머니를 위해 다시 한번 진혼곡을 불러주오. 그리고 그 슬픈 역사와 작별하지 않기를 함께 다짐합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처럼.

< 오승국 시인/ 제주작가회의 회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4 개)
이         름 이   메   일
541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시로미 2024.11.11 (17:52:19)삭제
화생이궤에 그런 아픔이 있었군요. 이번 투어는 새로 걸어보는 수악도시숲이 포함되어 있어서 좋았어요. 가을이지만 계절이 멈춘 것 같은 푸르름이 있는 날, 그래도 숲속에는 가을 꽃들과 버섯들이 피어나고 있었군요. 푹신한 숲속을 걷는 느낌이 너무 좋았던 날, 이번 코스는 그래서 더 마음에 들었습니다. 에코투어후에 지인들과 다시 수악도시숲을 걸었는데 이렇게 걸을 수 있었던 것도 에코투어 덕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투어를 이끌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박태석 2024.11.09 (11:54:43)삭제
꼴찌를 면하시고 잘 오시는 작가님 덕분에 제 발걸음도 가볐습니다. ㅎ 대단히 고맙습니다.
산그림자 2024.11.09 (09:12:31)삭제
재일 교포 3세인 아버지와 언어 소통이 안되었던 한국인 어머니로 부터 태어난 재일 교포 4세 추성훈씨가 무섭도록 혹독한 자신과의 싸움을 하며 운동하고 승리하여 성공하기까지 일본인들로 부터 차별에 대한 고통과 충격을 겼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평생 외롭게 살아 오신 어머님과 중학교 때 본인이 빌려준 돈을 갚지 않아 싸우게 되었을 때, 선생님이 추성훈을 체육관으로 불러내 얼굴을 뺀 온 몸을 구타했다고 합니다. 일본인은 때리지 않는다고 하면서... 추성훈씨가 희망을 잃지 않고 성공한 인생을 이뤘기에 이젠 말할 수 있었을 겁니다. 4.3 유가족 분들께서도 이젠 과거의 악몽으로 부터 벗어나 따뜻한 위로 많이 받으시고 행복한 발길 내딛을 수 있으시길 빌어 봅니다.
산그림자 2024.11.09 (08:51:12)삭제
전혀 알지 못했던 제주 4.3에 대해 그간 언저리 뉴스 정도로 알았다면, 작가님을 통해 조금이나마 더 소상히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진실과 왜곡된 역사 속에서 제주 도민은 물론 유가족들이 겪었을 고통과 슬픔 속 외로움은 소리없는 아우성이었을 테지요. 누군가 말했지요. 우리는 항상 죽음을 향해 가고 있다고. 또한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도 없겠구요. 하지만 이들의 죽음이야 말로 청천병력과도 같았을 테니 유가족이 그 사연을 품고 살았을 평생의 시간들을 생각 해 봅니다. 고통 없는 삶은 없겠지만 숨 죽여 가슴 앓이 하며 공포의 시간을 보냈을 분들께 따뜻한 위로를, 고인이 되신 분들께는 멋진 묘비명으로라도 원혼을 달래고 싶습니다.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