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8)/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2)도로가 뚫리다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8)/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2)도로가 뚫리다
성돌·문지 허문 자리에는 아스팔트 도로가…
  • 입력 : 2014. 04.30(수) 00:00
  • 이윤형 기자 yh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성 서문 일대 아스팔트도로 하부에 남아있는 성곽기단부.

일제 제주성 파괴 시작 해방공간까지 절반 이상 멸실
도로 하부는 성곽 기단부 생생… 규명작업 뒤따라야

최근 일제 패망 후 제주에 주둔한 미군정이 남긴 한 장의 지도가 발굴돼 관심을 모았다. '산지항축항도', 영문으로는 Town of Cheju(Sanji)라는 이름이 붙은 지도다. 이 지도는 해방공간의 제주성과 제주성내 상황을 비교적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지도에 따르면 제주성의 북쪽과 남쪽 성은 완전히 해체됐다. 성곽 자리는 도로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제주성은 남쪽 성과 동쪽 성을 중심으로 절반 정도가 남아있다. 이 구간에는 당시까지도 치성이 뚜렷하게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제주성 동성 일대에는 민가도 거의 들어서지 않은 상태였다. 해방공간까지도 제주성은 전체의 절반 정도가 남아있었던 것이다.

제주성 동문과 서문은 일제에 의해 철거된 후 도로가 뚫렸다. 그렇지만 미군정 진주 당시에도 남문로터리 부근은 여전히 옹성 등 성곽이 존재하고 있었다. 남문으로 들어가는 한짓골이 주요 도로였음을 알 수 있다. 남문로터리에서 중앙로를 거쳐 탑동까지 연결되는 현재의 도로는 이후에 개설됐다.

제주성 안에는 신작로(新作路)가 개설된다. 신작로는 물자를 수탈하고 군대를 이동시키고 식민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한 목적아래 만들어졌다. 역사와 문화, 지역 정서를 감안한 전통적인 도로체계는 철저히 무시됐다. 단지 일제가 식민지 경영을 위한 정치·경제·군사적 목적과 침략의도에 충실했을 뿐이다.

제주에는 여전히 신작로라는 명칭이 남아있다. 제주성 안에도 칠성통 일대에 북신작로라는 도로가 있다. 제주성 안의 신작로는 1912~1913년도 무렵 일주도로 개수 당시 개설된 것으로 알려진다. 도로를 개설하기 위해 도민들은 부역에 종사해야 했고. 도로에 편입되는 토지는 무조건 기부하도록 했다.

1914년도 일제가 만든 지적원도에는 이미 제주성 동문과 서문은 거의 직선도로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북신작로도 뚜렷하게 표시돼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주성은 차츰 원래의 모습을 잃어갔다. 일제가 제주성을 허물기 시작하면서 탐라 이래 지속돼온 역사문화경관도 크게 왜곡돼 버린다.

일제 패망 후 제주도에 온 미군정이 제작한 '산지항 축항도'. 붉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제주성이다.

제주성은 이후 6·25전쟁, 도시개발과 확산과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사라졌다. 성곽을 허문 자리에는 도로가 개설됐다.

제주성 서문 일대. 이곳 제주성내교회 앞 도로 부지에서는 지난 해 공동주택 신축과정에서 커다란 밑돌들이 발견됐다. (본보 2013년 10월 4일자 5면)

이 도로는 원래 제주성 성벽이 지나가는 곳이다. 그런데 일제가 산지항을 만드는 과정에서 성돌을 허물고, 그 자리에는 도로가 만들어졌다. 공동주택 부지에서 발굴된 밑돌들은 일제가 허물어버린 제주성 기단부에 해당된다. 일제에 의해 제주성이 허물어지고 도로로 변한 곳에서 처음으로 성곽 기단부가 발견된 것이다. 아스팔트 도로 하부에는 원형을 간직한 성곽 기단부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는 일제에 의한 제주성 파괴의 실상을 보여주는 현장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 제주성 정비복원의 중요한 근거가 되기도 한다. 제주성 축조와 훼손 및 파괴과정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규명작업이 뒤따라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도로로 편입된 구간에 대한 조사도 단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03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