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 포커스]제주국제공항 포화 대안은?

[월요 포커스]제주국제공항 포화 대안은?
굼뜬 공항대책 해저터널 이슈 키운다
공항 포화 단기 대응방안 부실·신공항 논의 제자리
  • 입력 : 2014. 09.22(월) 00:00
  • 부미현기자 bu8385@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원 도정, 해저터널 언급않고 신공항 집중 입장 표명
해저터널은 정부 - 민간 - 타 지자체 공조 입지 강화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정이 제주공항 확장이냐 신공항 건설이냐를 두고 고민 중인 가운데 정부, 민간건설업계,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해저터널을 공론화하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2007년 제주도와 전라남도가 공동으로 해저터널 사업을 정부에 제안한 뒤 몇차례 이슈가 돼왔지만, 처음으로 정부와 민간사업자들이 사업성에서 타당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항 포화시점이 당장 2018년이라는 국토교통부의 항공수요조사 결과가 최근 발표되면서 제주도는 당장 항공수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나 공항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에 적지 않은 난관이 놓여있어 해저터널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간 주도 "사업성 있다" 판단=먼저 민간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포스코는 서울-제주간 KTX 승차를 재검토한 결과 사업성이 충분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이를 국토교통부에 보고하고 별도의 사업추진팀도 꾸린 상황이다.

정부도 표면적으로는 해저터널에 대해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하고 있지만, 지난 6월 전남 목포시의 건의를 받아들여 내년 초에 발표할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마련을 위한 용역에 목포-제주 해저고속 철도건설계획안을 포함시켰다. 전남 지역에서는 여론 군불때기가 한창이다. 이낙연 전남도지사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연간 50일 가량 비행기가 못뜨는 제주에 해저터널은 필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제주 해저터널은 처음 사업이 제기된 지난 2007년에는 막대한 사업비와 기술력의 한계 등이 집중 거론됐다. 2010년에는 당시 국토해양부가 타당성 평가를 했으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보류됐다. 당시에는 지금의 폭발적인 제주 여행객 증가세를 예상하지 못했다.

▶신공항 넘어야할 산 많아=이에 따라 논의되고 있는 것이 공항확장인데, 문제는 현 제주공항을 넓히거나, 신공항 건설에 있어서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다.

둘 다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갈등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사안이며, 절차를 거치다보면 건설 시기도 매우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해저터널 사업비는 걸림돌 안돼=해저터널의 경우 예상사업비는 14조~16조원에 이르러 막대한 사업비가 큰 문제지만, 현재 영국·중국 등 해외자본까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큰 장애물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해저터널의 공사기간은 설계에 2~3년, 공사기간 8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해저터널에 대한 언급은 도내에서는 금기시 되고 있다. 자칫 신공항 건설에 대한 당위성을 상쇄시킬 수 있고, 중앙의 관심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문제는 도정이 신공항인지, 공항확장인지 여전히 여론 수렴에만 의존하고 있을 뿐 과거부터 현재까지 10여년동안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해저터널 건설은 제주를 당일치기 관광지로 전락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그러나 사업타당성이 증명될 경우 정부와 민간건설업계, 다른 지자체의 압력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2 개)
이         름 이   메   일
21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