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항정책과장, 2일 제주도 공항확충추진단 방문

국토부 공항정책과장, 2일 제주도 공항확충추진단 방문
"제2공항 갈등 해결 우선 제주도가 노력해야"
  • 입력 : 2015. 12.02(수) 18:33
  • 김희동천 기자 hallapd@hallailbo.co.kr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놓고 주민 반발이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갈등 해결 방안이 마련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제주도를 통한 주민과의 소통 행보를 우선시한다는 입장이어서 정부가 주민 동의 없이 제2공항 건설 예정지를 결정했다는 반대 목소리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웅진 국토교통부 공항정책과장은 2일 제주도청에서 도내 언론사 기자들을 만나 "현재는 제주도 차원에서 지역주민들을 만나 설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 과장은 이날 제주도 공항확충지원단 관계자와의 면담에 앞서 제2공항 건설 계획에 반대하는 주민들과 협의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 같이 답했다.

나 과장은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을 하게 되면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며 "우선 제주도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정부와 제주도가 합심해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 차원의 주민과의 대화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일정이 잡혀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제2공항 건설예정지 주민들은 공항 건설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만큼 정부의 설명을 요구해 왔지만 정부와 주민 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한동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나 과장은 "제주도가 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잘 알고 있다"며 "저희는 (제2공항 건설) 진행 과정에서 공식적인 일정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제2공항 완공 시점을 기존 2025년에서 2023년으로 앞당기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선 가능 방안을 검토할 뜻을 내비쳤다.

나 과장은 "(제2공항 개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기획재정부도 제2공항 건설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며 "정부의 전 부처에서 제주도의 공항 건설 사업을 빨리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협조를 해주면 사업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 과장은 제주도의 에어시티 조성 계획에 대해서도 "에어시티는 국토부 사업이 아니다"고 전제하면서도 "우리나라에는 에어시티 개발 형태가 없지만 전 세계적으로 관련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제주도가 에어시티 개발을 추진한다면 (국토부에서도) 제주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나 과장은 국토교통부와 대한항공의 이해관계에 의해 제2공항 위치가 조정됐다는 일부 언론의 의혹 제기와 관련해 "전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새롭게 건설하는 공항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주공항, 정석비행장과 공역이 중첩돼선 안된다"며 "공역은 비행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입지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이고, 이번 평가에서도 이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 영상취재 : 김희동천 기자 , 글/취재 : 김지은 기자 )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53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