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출범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출범
진상규명·희생자 배상·국정 역사교과서 폐기 촉구
  • 입력 : 2017. 03.01(수) 19:02
  • 김희동천 기자 hallapd@hallailbo.co.kr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4·3이 내년 70주년을 맞는 가운데 이를 기념하기 위한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제주도내 65개 단체로 구성된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이하 기념사업위)'는 1일 오후 4시 제주시 관덕정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출범식은 내년 제주4·3 70주년을 맞아 올바른 진상규명과 희생자 배상, 당시 미군정에 대한 책임 추궁 등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의 시작은 제주 4·3의 도화선이 됐던 '1947년 3·1절 제주도대회'를 기념하는 거리굿과 음악 공연, 시 낭송으로 이뤄졌다. 당시 상황을 문화 공연으로 재현해 역사적인 날을 잊지 말자는 취지에서 제주민예총과 충북민예총이 힘을 합친 것이다.

개회사에 나선 양윤경 4·3희생자유족회장은 "다음 80주년 행사에는 4·3을 겪었던 사람이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며 "내년 70주년 행사에서 몇 남지 않은 생존자들이 마지막 책임을 다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도민들이 함께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어 김상철 제주4·3연구소 이사장은 "관덕정은 덕을 쌓으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곳인데, 70년 전 정부는 제주도민들에게 잊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며 "정부와 정치권에 기대기 전에 제주도민이라도 4·3을 함께 기억하고 슬퍼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주4·3을 축소하고 왜곡해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교과서에 대한 폐기를 촉구하는 결의도 있었다.

김영민 전교조 제주지부장은 "국정교과서는 한국 현대사의 최대 비극인 제주4·3을 단 몇줄의 문장만으로 축소·왜곡해 서술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자행한 폭력의 역사적 의미는 아예 기술하지도 않고 있다"며 "이로 인해 극우 보수단체의 끊임없는 '4·3 흔들기'를 사실상 묵인하고 방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교육부는 이미 사망선고를 받은 국정 역사교과서를 완전히 폐기하고 4·3영령과 유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진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출범 선언은 기념사업위 공동대표를 맡은 65개 단체 대표가 모두 나와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4·3특별법 제정, 4·3평화공원 조성 등 어둠 속에 갇혀 있던 제주4·3은 이제 서서히 양지로 나오고 있다"면서 "그러나 보수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4·3을 폄훼하는 세력들의 준동은 끊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내년 70주년은 역사적 비극으로서 4·3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돼야 한다"며 "최근 낡은 기득권 체제의 실상이 드러나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이 폭발하고 있는 시점에서 제주4·3도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들을 국민들과 함께 제기하고 해결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한편 출범식이 끝난 이후에는 참가자들이 관덕정에서 출발해 동문로터리를 거쳐 북초등학교까지 거리행진을 벌이는 것으로 행사를 마무리 했다.

(영상취재 : 김희동천 기자, 글/취재 : 송은범 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12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