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에서 백두까지] (7)압록강과 단둥을 가다(상)

[한라에서 백두까지] (7)압록강과 단둥을 가다(상)
남·북한과 중국 공존… 대북제재에도 차량 행렬 줄줄이
  • 입력 : 2019. 10.30(수) 00:00
  • 이윤형 기자 yh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압록강단교 일대 관광객 발길
교류·변화 주시 대비해 나가야


백두산에서부터 장장 800㎞를 내달린 압록강 물줄기가 서해로 나가는 마지막 길목에 위치한 도시, 단둥이다. 북중 변경도시이자 관문도시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탐사팀은 백두산 등정에 앞서 압록강 하류 국경도시인 단둥을 찾았다.

강 하류의 강물은 혼탁했다. 단둥시내 바로 앞 강 한가운데는 낮은 구릉처럼 섬 하나가 떠 있다. 1388년(우왕 14) 명나라를 치기 위해 요동 정벌에 나선 이성계가 회군을 한 역사의 무대, 바로 위화도다. 압록강 유람선은 위화도 근처에서 뱃머리를 돌린다.

단둥시와 북한 신의주를 잇는 중조우의교(왼쪽)와 압록강단교(오른쪽) 아래로 유람선이 지나고 있다. 강희만기자

중국측 압록강 변은 공원으로 말끔히 단장됐다. 강 건너는 신의주다. 최신식 호텔이 들어서는 등 자본주의 여느 도시와 다를 바 없는 모습이다.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아니 한반도와 중국은 오랜 세월을 갈등과 대립, 화해와 공존, 교류를 거듭해왔다. 시대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점에서 얽혀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수많은 애국지사가 압록강을 건너 단둥을 거쳐 항일투쟁에 헌신했다. 중국의 국경도시 중 가장 큰 도시인 단둥은 최근엔 북한과의 교역·교류의 중심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의 단둥이란 명칭은 1965년부터 불리기 시작했다. 이곳은 이전에는 고구려 영토에 속했다. 이후 고구려가 멸망하자 당은 이곳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했다. 이어 뒤에 청나라가 1876년 안둥(安東)현을 설치하면서 안둥이 정식 지명으로 쓰이게 된다. 그러다가 1965년 1월부터 단둥(丹東)으로 바뀌었다.

북한 국제여행사 버스가 중조우의교를 통해 단둥시내로 들어오고 있다.

단둥의 관광명소 중 하나는 압록강단교다. 압록강단교는 일제강점기부터 1950년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의 역사가 점철돼 있다. 압록강단교는 원래 일제가 대륙 침략을 위해 1911년 10월 준공한 철도교다.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중국 국경에 처음 건설한 다리다. 이 다리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참전하자 미 공군이 1950년 11월 폭격, 북한쪽 교각 대부분을 파괴해버렸다. 끊어진 다리가 된 이유다. 전체 길이는 944m이나 북한쪽 철교는 기둥만 강물 위로 일부 남아있는 상태다.

중국 정부는 단교를 관광자원화 하면서 수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관광객들은 철교가 끊어진 곳까지 오가면서 북한과 중국 양쪽을 감상한다. 단교 끝에서 신의주는 손에 잡힐 듯 가깝다. 단교 아래로 압록강은 유유히 흐를 뿐이다.

압록강단교가 끊어진 지점에서 관광객들이 신의주를 바라보고 있다.

중국측 중조우의교.

밤이 되면 압록강단교는 화려한 조명으로 재탄생한다. 다리 전체가 빨강, 파랑 등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명이 바뀌면서 볼거리를 더해준다. 한낮의 칙칙한 철제 교각은 온데간데없고 다양한 조명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압록강단교 일대는 노점상뿐만 아니라 식당 등 다양한 가게들이 밀집해 있다. 가게 안에 태극기와 인공기, 중국 오성홍기가 나란히 걸린 모습도 눈에 띤다. 가게에서는 북한 여성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탐사팀이 건네는 말에도 스스럼없이 답한다. 남한과 북한, 중국이 서로 공존하는 무대가 바로 단둥임을 실감할 수 있다. 단교 주변은 문화광장으로 조성돼 관광객 등으로 북적인다.

압록강단교를 대신한 다리가 바로 70여m 정도 상류에 위치한 중조우의교다. 현재 이 다리를 통해 북한 신의주와 연결된다. 철도와 자동차, 사람이 다닐 수 있다. 이 다리를 통해 북중 무역교류가 이뤄진다. 단둥은 북한을 관광하려는 사람들의 집결지다.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관광객들도 단둥을 통해 북한 관광에 나선다.

압록강단교 주변 문화광장의 관광객들.

중조우의교를 통해 관광차량이 오가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화물차량의 행렬도 끊임없이 이어졌다. 유엔의 대북제재가 지속되고 있지만 중조우의교를 통한 북한과의 교류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둥과 신의주를 잇는 왕복 8차선 신압록강대교도 머지않아 개통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단됐던 압록강 하류 황금평도 경제개발구도 추진될 예정이다. 단둥은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까.

국경의 강은 경계와 단절이 아닌 사람과 물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강물의 도도한 흐름을 멈출 수 없듯이 역사의 흐름도 멈출 수 없다. 압록강 하류 단둥에 부는 변화의 바람은 북-중간의 관계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남북교류와 한반도의 미래와도 연관된다는 점에서 면밀히 주시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그 변화의 흐름을 주시하면서 교류협력의 미래를 그려 나가야 한다.

이윤형기자

후원: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09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