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제주 담팔수 자생지 보전 강화

천연기념물 제주 담팔수 자생지 보전 강화
올해 2억 원 투입 병해충 방제·영양 공급 및 상시 모니터링
  • 입력 : 2024. 01.19(금) 17:23
  • 김도영기자 doyou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천지연 자료사진. 한라일보DB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천연기념물인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식생 정비와 모니터링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4년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으로 예산 2억원을 확보해 진행될 예정이다.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는 아열대 식물인 담팔수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지역으로 식물분포학상 연구 가치가 높아 1964년 1월 3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014년부터 문화재청과 함께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내 담팔수 개체 확인조사와 관리방안 마련, 식생정비사업 등 보존 관리를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2014년부터 자생지 내 담팔수 개체 조사를 통해 성목 6개체를 발견했으며, 이 중 5개체가 자연재해 및 쇠락증(위황병) 등으로 고사한 것을 확인했다. 또 2022년에는 전수조사를 실시해 치수 및 유령목 등 담팔수 76개체를 추가로 확인했다.

제주도는 올해 천연기념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의 지정 가치 보존을 위해 마련된 관리방안을 기반으로 병해충 방제와 영양공급, 경쟁식생 정리 등 정비와 상시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위황병은 현재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아 적정 방제가 어려운 여건으로, 감염 시 수세가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고사하게 돼 치료가 쉽지 않다. 다만 진딧물, 응애, 매미충류 등 흡즙성 해충으로 인해 병원균인 파이토플라즈마가 전염되는 것으로 추정돼 이를 방제하는 방법으로 예방하고 있다.

세계유산본부 관계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주에만 자생하는 담팔수의 고사를 방지하고 병해충 방제, 생육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집중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54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