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정해진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넘어야 할 산 많다

방향 정해진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넘어야 할 산 많다
광역-기초 기능배분, 주민투표, 특별법 개정 등 과제 수두룩
도민-정부-국회 등과 소통-협력,공감대 형성 등 최우선 과제
  • 입력 : 2024. 02.10(토) 21:50  수정 : 2024. 02. 13(화) 20:50
  • 위영석 기자 yswi1968@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민선 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핵심공약으로 추진되고 있는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의 방향이 결정되면서 올해 광역과 기초지자체간 기능 배분, 주민투표, 제주특별법 개정 등이 잇따라 추진된다.

행정체제 개편 자체가 제주자치도만의 힘으로 가능한 사안이 아닌 만큼 정부와 국회의 협조가 필수적이어서 올해 논의 과정에서 어떻게 도민의견을 한데 모아 설득해내느냐에 오영훈 제주도정의 성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영훈 "3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추진 선언"=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 6일 행정체제개편위원회가 최종 권고한 기초지자체 부활과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등 3개 행정구역 설정안을 수용하고 과거 시·군체제나 기존 시·군과는 다른 새로운 행정체제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개 행정구역은 제주시를 국회의원 선거구(제주시갑·제주시을)에 따라 2개로 분할하고 서귀포시를 현행대로 두는 것이다.

제주자치도가 구상하는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는 지방자치법에 규정된 기초와 광역의 사무 구분을 뛰어넘는 모형으로 지방자치 선도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능도 새롭게 배분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특별자치도로 부여받은 국가 권한 중에서도 시장이 행사했을 때 주민의 편의와 복리가 증진된다면 과감히 기초자치단체장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지역 간 양극화 해소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제주의 특수성을 반영해 새롭게 광역, 기초간 사무·기능을 재정립하겠다는 복안이다.

▶아직도 넘어야 할 과제 '수두룩'=제주자치도는 기초자치단체 설치에 대한 실행 방안을 구체화해 2026년 7월 민선 9기 출범에 맞춰 제주형 행정체제를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내로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도민들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올해 내로 주민투표도 추진된다.

하지만 광역과 기초간 기능 배분과정에서 사회단체와 제주자치도의회와의 의견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다 법률상 주민투표도 행정안전부 장관의 손에 달려 있어 제주자치도의 요청만으로 가능한 것도 아니다.

게다가 여전히 현행 광역체제를 선호하는 도민들이 많은데다 주민투표에서 투표율이 낮아 개표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어 얼마나 주민 호응도를 끌어내느냐도 변수가 될 수 있다.

또한 주민투표가 실시돼 기초단체를 두는 방안이 나오더라도 행정계층구조 변경을 위해서는 행안부의 결정과 관련 국회의 법률 개정이 뒤따라야 한다.

오는 4월10일 실시되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와 정치지형도 따라 강원특별자치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상관관계 등을 고려해 제주자치도의 추진방향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이에 따라 기초단체를 다시 복원하는 이유에 대한 제주도민 공감대를 확보하고 정부와 국회에 대한 지속적인 소통과 설득도 요구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2 개)
이         름 이   메   일
830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