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터봇, 제주 주요 양식어종으로 키운다

고품질 터봇, 제주 주요 양식어종으로 키운다
해양수산연구원 냉수성 고급 어종 대문짝 넙치 수정란 보급
  • 입력 : 2024. 02.12(월) 14:26
  • 김도영기자 doyou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터봇 양식수조. 제주도 제공

[한라일보] 고품질 양식 어종이 터봇의 보급을 위해 수정란이 공급된다.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지하해수 활용 양식이 가능하며 새로운 양식어종으로 각광받는 냉수성 어종인 터봇(대문짝 넙치) 수정란을 2월 말까지 민간 배양장에 보급한다고 12일 밝혔다.

도내에서 2011년부터 일부 터봇 양식이 시작돼 2023년 말 현재 15개소에서 지하해수를 이용해 연간 350~400t을 생산하고 있다.

터봇은 평균 1㎏까지 성장하는데 약 14개월이 소요돼 양식 광어보다 성장기간이 2~3개월 더 소요되지만 판매가격이 높아 터봇 양식이 보다 유리한 상황으로 터봇 가격은 ㎏당 2만4000원으로 광어 ㎏당 1만4000원보다 비싼 가격에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터봇 양식을 위한 수정란이 생산되지 않아 7㎝급 종자를 전량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터봇 종자 생산기술 확립이 절실하다.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안정적인 터봇 수정란 보급을 위해 친어 성숙유도 기법을 확립하고 냉수성 어종 전용 연구시설 구축 등을 통해 2022년부터 시험적으로 민간배양장에 수정란을 보급하고 있다.

지난해 민간배양장 4개소에 터봇 수정란 116만개를 보급한 결과 1개소에서 종자생산에 성공해 현재까지 양성 중이며 곧 출하를 앞두고 있다.

올해부터는 수정란 보급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1월 현재까지 4개소에 120만개를 보급한 데 이어 2월 말까지 지속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관계자는 "터봇 종자산업 육성을 통해 양식대상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광어 외 양식이 가능한 새로운 어종을 발굴해 제주 양식산업의 다품종화를 통한 양식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49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