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스마트팜 늘리면서 교육시설 지원 못하나

[사설] 스마트팜 늘리면서 교육시설 지원 못하나
  • 입력 : 2024. 05.20(월) 00:00
  • 한라일보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도가 미래 농업에 대응하기 위해 '제주형 스마트팜 교육센터' 건립에 나선다.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축사 등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기후 영향을 덜 받고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팜이 대세다. 그런데 정부에서 신규 스마트팜 교육시설 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제주형 스마트팜 교육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농촌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을 살릴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스마트팜 확대를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북 김제, 전남 고흥, 경북 상주, 경남 밀양 등 4곳에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와 임대형 농장 등을 갖춘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설치돼 운영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년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한 후 이들 지역에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한 바 있다.

제주에 스마트팜 교육시설 건립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가 최근 기획재정부 등을 방문해 국비 지원을 요청했지만 타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내세워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정부는 2027년까지 축사 등 농업시설의 30%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랬던 정부가 정작 스마트팜 교육시설에 대한 지원이 어렵다고 하면 어떻게 되는가. 농촌은 수입 농산물에다 인구 감소와 기후변화 등으로 고사될 위기에 놓였다. 정부가 스마트팜을 확대하겠다면서 이에 필요한 교육시설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말이 안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92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