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이달부터 폐플라스틱 새활용으로 노인일자리 만든다

제주 이달부터 폐플라스틱 새활용으로 노인일자리 만든다
道,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사업 추진
어르신 20명 참여… 1억6000만원 투입
  • 입력 : 2024. 06.25(화) 16:27  수정 : 2024. 06. 25(화) 16:36
  • 이태윤 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특별자치도청.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는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발굴 확대를 위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하는 '새활용 알리미Ⅱ' 사업을 6월부터 추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새활용 알리미Ⅱ 사업은 다 쓴 플라스틱을 지정 수집장소인 도내 5개 해수욕장으로 가져오면 무게에 따라 환경부의 탄소중립포인트를 제공하는 한편 수집된 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 새활용 제품 파라솔을 지정 해수욕장에 무상 교체하고 관리하는 사업이다.

지정장소는 도내 주요 해수욕장 중 이용인구가 많고 해당 마을간 협력이 가능한 함덕·협재·이호·곽지·중문 해수욕장 5곳이 선정됐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주지역본부에서 지난 5월 선정한 이번 사업에는 총 1억 6640만원이 투입되며, 제주도는 이 중 5820만원을 부담한다.

사업에는 어르신 20명이 참여하며, 6월 현장 모니터링 및 교육 후 7월부터 지정 해수욕장에 배치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5월 19일 체결된 제주도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업무협약에 따른 것으로, 사업의 원활한 진행과 완성도 제고를 위해 제주도 노인복지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주지역본부, 한국환경공단제주지사, ㈜KB증권, 제주시니어클럽 5개 기관이 지난 5월 29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편 제주도는 2023년에도 새활용 알리미 사업을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바 있다.

당시에는 어르신 10명이 참여해 기 사용 플라스틱 수거·세척·선별 및 재생한 새활용 제품인 낙상방지 안전바 500개를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250가구에 무상으로 설치를 지원했다.

올해 사업은 지난해 사업의 확대 연계 사항으로, 기 사용 플라스틱 자원순환 실천 활성화와 도민 사회의 자원순환 분위기 조성을 위해 추진 중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48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