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웅기의 현장시선] 전력망 확충 위한 모두의 역량 결집 필요

[홍웅기의 현장시선] 전력망 확충 위한 모두의 역량 결집 필요
  • 입력 : 2025. 04.25(금) 01:30
  • 고성현 기자 kss0817@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전기는 필수재이지만 만들기만 해서는 쓸 수 없고, 쓰기만 해서는 지속될 수 없기에 한국전력은 전력 수송을 통해 전력의 생산지와 공급지의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전력 생산자, 수송자, 소비자의 역할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력 수송을 위해 필수적인 전력망 확충이 지연되면서 문제가 생기고 있다. 석탄, 석유, 원자력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 위주였던 과거와 달리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이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망 확충이 필요해졌다. 게다가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곤 하는 AI산업의 발달은 주소비 지역인 수도권으로의 광역 전력망 확충의 필요성을 대폭 증가시켰다.

실제로 대부분의 대용량 발전소는 강원·영남·호남에 위치한 반면 전력 소비의 40%는 수도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 역시 발전소와 대용량 육상·해상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제주 동·서부지역에 집중돼 있는 데 비해 전력수요의 45%를 제주시에서 소비한다. 이러한 불일치는 발전소 밀집 지역과 전력 다소비 지역을 연결하는 장거리 송전선로 구축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원인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와 지자체의 소극 행정 등으로 전력망 건설이 수십 개월씩 지연되고 있는 것이 전국적 실정이다.

500kV 동해안-수도권 HVDC를 비롯한 국가 전력망의 확충은 매년 반복되는 '출력제어'를 겪는 우리 제주도와도 무관하지 않다. 국가기관 전력망을 적기 확충해 제주와 전남의 과잉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운송하지 않으면 출력제어가 불가피하다. 송전용량 증대를 위해 작년 말부터 운전을 시작한 완도-제주 간 제3연계선도 제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이다.

다행히 올해 2월 국회가 발 벗고 나서 반도체 산업과 AI 등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제정해 오는 9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전력망 확충 위원회 설치 및 인허가 절차 특례, 주민 수용성 재고방안 마련 등을 통해 전력망 건설이 한층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별법이 전력망 확충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절차를 담고 있지만 시행 주체인 한전의 책임감 또한 크다.

한전은 조직과 인력을 보강하고 역량을 집결해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와 전력망 적기 확충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국민과의 소통에도 충실할 것이다. 토지소유주는 물론 지역주민들에 대한 현실적 보상과 지원을 대폭 확대해 주민 수용성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전력설비 전자파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과학과 보건·의료 분야의 목소리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전달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달성과 국가 신성장 전략사업 추진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협조를 당부드린다. <홍웅기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62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