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우리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때
2022-11-07 10:45

원본 이미지 보기
우리의 의식주는 모두 탄소의 배출과 연결된다. 우리가 음식을 먹은 후에 나오는 플라스틱과 음식물 쓰레기, 입고 버린 옷들 모두 환경을 파괴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지구는 점점 오염되고 이로 인해 발생한 기후 변화는 우리 생활에 직접 영향을 끼치고 있다. 여름철 폭염과 홍수, 봄 또는 가을의 가뭄이 이러한 예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올랐다. 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은 최대한 감소시키고, 흡수량은 증대하여 순 배출량이 ‘0’이 된 상태를 의미한다. 탄소중립의 실천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개인 삼자 간의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여러 정책을 마련해 기업의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개인이 생활 속 실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제주에서도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2년 주요도정계획에서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주형 추진전략’을 마련하였다. 2050 기후변화 대응계획 및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구성, 탄소중립 지원센터 설립, 탄소중립 이행 책임관 지정 등을 계획했다. 또한 탄소중립 연안·해양공간 Re 디자인과 사용후 배터리 기반 친환경 선박 실증연구단지 조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주에서는 정부 차원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탄소중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생활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탄소포인트제를 실시하여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한 가구에 인센티브를 지급하였다. 그리고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도사업에 참여할 공동체를 모집하고 있다. 이처럼 탄소중립을 위해서 지방정부 차원의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는 우리 개인도 노력해야 한다. 일회용컵을 사용하지 말고 개인용 텀블러 사용하기, 쓰레기 분리배출하기, 가까운 거리 대중교통 이용하기. 이러한 사소한 노력부터가 탄소중립 실천의 시작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58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11-08
3257 11월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비밀글 김주영 11-08
3256 미래의 꿈나무인 아이들을 위한 기마대의 역할  ×1 ×1 이명량 11-08
3255 나비효과로 성산읍 행복 복지 일번지로 거듭나길!  ×1 윤매순 11-08
3254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1-07
> 탄소중립, 우리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혜지 11-07
3252 재앙이 된 기후변화  ×1 제주대학교 김수준 11-05
3251 다시 찾아온 제주도민체전, 기쁨의 축전!  ×1 강진화 10-31
3250 긍정의 힘으로  ×1 김정범 10-31
3249 제주양돈농협 이도지점, 이도2동에 돼지고기 100kg 기부  ×1 ×1 양현주 10-27
3248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27
3247 도움 될 정보에요 유익한 10-25
3246 제주시 지원 애월읍 아동 꿈성장 배움터 종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245 제1회 제주학생 생명존중 열린토론대회  ×1 애서원 10-24
3244 자원봉사 시작하기  ×1 ×1 김희범 10-21
324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 지원사업   ×1 김루대아 10-21
3242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친절의 기본이다  ×1 ×1 김성봉 10-21
3241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0-18
3240 재활용 이제는 새활용이다!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10-18
3239 기후변화는 육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바닷속 온난화 ‘해양열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10-17
3238 우리 지역의 안전 지킴이 의용소방대  ×1 고기봉 10-17
3237 도로건설보다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0-17
3236 제주 쓰레기에 대한 인식, 언제까지 그대로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성환 10-15
3235 위기 상황에 노출된 남방큰돌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양희진 10-15
3234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국가 기념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소연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