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2022-11-07 20:03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조윤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 김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엇일까? 혹시 사진 찍을 때 하나, 둘, 셋 하면 ‘김치~’라고 하는 것이 떠오르지 않을까? 지난 11월22일은 국가에서 법정 기념일로 정한 제1회 김치의 날이었다.
“한국인은 김치 없이 살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처럼 한국인의 밥상에는 늘 김치가 있다. 그렇다면 11월 22일이 무슨 날인지 아는가? 바로 국가에서 법정기념일로 정한 ‘김치의 날’이다. 아마 제대로 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는 김치가 우리의 것이라고 자부하면서도 정작 김치의 날이 있는지는 모르는 것이다.
김치의 날은 ‘김치산업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에 따라 김치 문화 계승·발전과 국민에게 김치의 영양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11월 22일로 지정되었다. 이는 김치 소재 하나하나(11월)가 모여 22가지(22일)의 효능을 나타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과 고추, 파, 마늘 등 여러 가지 양념을 버무려 담근 음식이다. 김치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면역력 증진 및 바이러스 억제, 항산화 효과, 변비와 장염 및 대장암 예방, 콜레스테롤 및 동맥 경화 예방, 다이어트 효과, 항암효과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김치는 먼 과거부터 시작되었다. 과거부터 채소는 보존이 어려운 식품 중 하나였다. 채소는 말리면 영양가가 줄어들고 맛도 없어졌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소를 소금에 절이게 되었고,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게다가 소금 외에도 장이나 초, 향신료 등을 함께 섞어서 두었더니 새로운 맛과 향이 보태진 식품이 탄생했는데 이것이 채소절임 식품인 김치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김치는 지역의 특색에 맞게 다양하게 변했다. 예를 들면 제주도 김치는 섬이라는 특성상 해물이 많이 들어가고 국물이 넉넉한 편이다. 또한 섬이라 양념이 귀해 양념을 적게 써서 만든다고 한다.
최근 미국에서도 우리나라가 김치의 종주국임을 인정하여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지정하였다. 이렇듯 해외에서도 김치의 날을 제정하고 김치의 우수성을 인식하며 김치의 가치에 대해 알린다.
하지만 한국에서 김치의 날을 인식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한 것을 잃는다.’는 말처럼 김치도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김치가 늘 우리 곁에 있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만 언젠가는 김치가 우리 식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김치를 빼고는 한국인의 밥상을, 한국의 음식문화를 논할 수 없다. 오는 11월 22일에 많은 국민들이 김치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기를, 그리고 언젠가는 11월 22일이 전 세계인이 즐기는 '김치데이'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58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11-08
3257 11월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비밀글 김주영 11-08
3256 미래의 꿈나무인 아이들을 위한 기마대의 역할  ×1 ×1 이명량 11-08
3255 나비효과로 성산읍 행복 복지 일번지로 거듭나길!  ×1 윤매순 11-08
>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1-07
3253 탄소중립, 우리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혜지 11-07
3252 재앙이 된 기후변화  ×1 제주대학교 김수준 11-05
3251 다시 찾아온 제주도민체전, 기쁨의 축전!  ×1 강진화 10-31
3250 긍정의 힘으로  ×1 김정범 10-31
3249 제주양돈농협 이도지점, 이도2동에 돼지고기 100kg 기부  ×1 ×1 양현주 10-27
3248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27
3247 도움 될 정보에요 유익한 10-25
3246 제주시 지원 애월읍 아동 꿈성장 배움터 종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245 제1회 제주학생 생명존중 열린토론대회  ×1 애서원 10-24
3244 자원봉사 시작하기  ×1 ×1 김희범 10-21
324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 지원사업   ×1 김루대아 10-21
3242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친절의 기본이다  ×1 ×1 김성봉 10-21
3241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0-18
3240 재활용 이제는 새활용이다!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10-18
3239 기후변화는 육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바닷속 온난화 ‘해양열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10-17
3238 우리 지역의 안전 지킴이 의용소방대  ×1 고기봉 10-17
3237 도로건설보다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0-17
3236 제주 쓰레기에 대한 인식, 언제까지 그대로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성환 10-15
3235 위기 상황에 노출된 남방큰돌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양희진 10-15
3234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국가 기념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소연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