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한라에서 백두까지] (6)백두산 관광의 명암
한라-백두 보존·관리방안 사례 공유 필요 백두산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산·지질경관과 우수한 생태적 가치로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풍부한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어 중국 내는 물론 국내에서도 많은 관광…
이윤형 기자 ㅣ 2019. 10.23. 00:00:00
[2019한라에서 백두까지] (5)남파를 가다
탄화목 등 화산 폭발 흔적 생생제주도처럼 화산지질학 교과서 백두산 천지를 오르는 길은 모두 3곳이다. 중국은 백두산 관광을 위해 북파, 서파, 남파에 산문을 설치하고 관광객들을 천지 코앞까지 실어 나른다. 각각의 산문은 …
이윤형 기자 ㅣ 2019. 10.16. 00:00:00
[2019한라에서 백두까지] (4)왕지의 식물과 한라산
[전문가 리포트] 김찬수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백두산 천지로 오르는 길 중 서파산림도로는 서파산문에서 천지까지 거리가 30㎞ 조금 더 된다. 출발점인 서파산문은 천지를 기준으로 보면 서쪽에 있는 게 아니라 서북 정도로…
이윤형 기자 ㅣ 2019. 10.09. 00:00:00
[2019한라에서 백두까지] (3)백두산 화구호와 왕지
제주 오름의 산정화구호처럼 백두산에도 화구호가 여럿 있다. 한라와 백두는 유사한 화구호를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한라산에 물장올, 사라오름, 소백록담 등이 있다면 백두산에는 소천지, 왕지, 적지, 곡지, 원…
이윤형 기자 ㅣ 2019. 10.02. 00:00:00
[2019 한라에서 백두까지] (2)다시 백두에 서다
이름만 들어도 가슴 설레는 백두산 천지가 눈앞에 펼쳐졌다. 해발 2500m 이상 봉우리만 해도 27개나 되는 고봉들로 둘러싸인 천지는 말 그대로 하늘의 호수다. 백두산 최고봉인 장군봉(해발 2750m)을 비롯 정상부에 펼쳐진 봉우리…
이윤형 기자 ㅣ 2019. 09.12. 00:00:00
[2019 한라에서 백두까지] (1)프롤로그
백두산(중국명 장백산)은 동북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높은 민족의 영산이다. 한반도와 광활한 만주벌판을 무대로 역사를 이어온 우리 민족에게는 '국산'(國山) 같은 존재다. 정약용 등 조선시대 실학자들은 한반도의 산줄기가 백…
이윤형 선임 기자 ㅣ 2019. 09.02. 0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8)도시숲 인식 바뀌어야
도시계획 부산물 인식 단편적 접근으론 한계도시숲 존재가 미래 도시 경쟁력인 시대 도래장기적인 안목에서 그린인프라 확충해 나가야 제주는 환경중심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 …
이윤형 기자 ㅣ 2019. 06.19. 0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7)민간 참여 활성화 과제
제주 이벤트성 등 단순 참여방식에서 못벗어나도시숲 트러스트 전무… 전국 지자체와는 대조행정·주민·기업 협업 통해 지속 조성·관리 필요 지난 2017년 5월,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기업이 참여한 테마 숲이 조성됐다. 제주시 …
이윤형 기자 ㅣ 2019. 06.05. 0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6)도시숲 조성 방향은
제주 숲 조성하는데만 치중도시숲 다원적 효과는 한계다열·복층가로수 확대해야'목적형 도시숲' 개발 필요 제주도는 동북아의 환경수도를 지향한다. 이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 하드웨어적인 화려한 타이틀로만 이룰 수…
이윤형 기자 ㅣ 2019. 05.22. 00:00:00
[뉴스-in] 도 기획조정실장 “세정운영 아이디어 청취”
도민 참여형 세정모니터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방세원 발굴 및 제도개선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도민 세정모니터'를 5월 중 구성 계획. 제주도에 따르면 세정모니터는 마을세무사·지방세 심의위원·…
이윤형 기자 ㅣ 2019. 05.14. 0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5)왕벚나무는 안전한가
도 전역 가로수실태조사·지속 관리 나서야수종 장·단점 파악사전 조성단계부터 고민을 화사한 꽃과 자태로 봄을 수놓는 왕벚나무는 가로수는 물론 도시숲의 인기 수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십 년 전부터 가로수 등으로 식재…
이윤형 기자 ㅣ 2019. 05.08. 0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4)위기의 도시숲
연동 일대 담팔수나무 등 병해충에 노출 점차 고사왕벚나무로 피해 확산돼도로 개설 등으로 유서깊은 가로수 사라져조성 보다 관리에 방점을 인간은 기후변화와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하면서 진화의 과정을 거쳤다. 이런 인류…
이윤형 기자 ㅣ 2019. 04.09. 20:00:00
[녹색 제주를 디자인하다] (3)도시숲 조성 사례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 우려 등으로 도시숲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숲이 미세먼지를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다. 이산화황이나 이산화질소·오존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완화시키는…
이윤형 기자 ㅣ 2019. 03.26. 20:30:00
[녹색제주를 디자인하다] (2)숲속의 제주 어떻게
산림청, 품격있는 도시 위한 그린인프라 구축 방안 제시제주도, 올해부터 행정시와 숲속 제주 만들기 본격 추진 봄철에 접어들면서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겹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미세먼지의 공습은 일상생활은 물론 휴일 …
이윤형 기자 ㅣ 2019. 03.12. 20:00:00
[이윤형의 한라칼럼] 3·1운동 100주년… 여전한 분단의 그늘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한반도는 지금 역사의 변곡점을 맞고 있다. 지난해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27, 28일엔 베트남 하노이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세기의 담판을 예고하고 있다. 분단시대의 그늘은 조금씩 걷혀가고…
이윤형 기자 ㅣ 2019. 02.26. 00:00:00